소아(小兒)

비는 곤한 것을 주관한다[脾主困]

한닥터 2011.10.14 조회 수 696 추천 수 0
? 脾主困 ○ 實則困睡身熱飮水 ○ 脾病困睡泄瀉不思飮食 ○ 實則多睡體重昏倦困睡不露睛身熱渴欲飮水泄瀉赤黃色宜瀉黃散(方見五藏) ○ 虛則吐瀉生風或泄瀉白色睡露睛或有痰宜錢氏白朮散(方見下)[錢乙]

☞ 비는 곤한 것을 주관한다[脾主困]

○ 비(脾)가 실(實)하면 곤(困)하게 자고 몸이 달고 물을 켠다[飮]. ○ 비에 병이 생기면 곤하게 자고 설사하며 음식 생각이 없다. ○ 비가 실하면 잠이 많고 몸이 무거우며 정신이 흐리고 움직이기 싫어하며 곤하게 자고 눈을 꼭 감으며 뜨지 않고 몸에서 열이 나며 목이 말라 물을 마시려 하고 누르불그스레한 설사를 한다. 이런 데는 사황산(瀉黃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쓴다. ○ 비가 허하면 토하고 설사하며 풍이 일고 혹 곱이 섞인 설사를 하며 눈을 뜨고 자며 혹 담(痰)이 있다. 이런 데는 전씨백출산(錢氏白朮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쓴다[전을]. 
관련된 글
  1. 기본방 모음 252. 全氏白朮散(전씨백출산)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비열(脾熱)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탕화상[湯火瘡]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소갈이 변한 증상[消渴傳變證]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비열(脾熱) by 한닥터
  6. 동의보감 견순(脣)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입맛이 단것[口甘]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비병을 치료하는 방법[脾病治法] by 한닥터
  9. 태암 처방집 小兒吐瀉神效(소아토사신효) 錢氏白朮散(전씨백출산) by 한닥터
  10. 방약합편 252. 全氏白朮散(전씨백출산)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사황산(四黃散) by 한닥터
  12. 임상 경험방 소아구취 - 진해 이수민원장님 경험방 by 웅이아빠
  13. 동의보감 처방집 사황산(瀉黃散)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사황산 - 瀉黃散 by 한닥터
  15. 방약합편 120 백출산(白朮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진액(津液)] 누풍증(漏風證) 246
[소아(小兒)] 번갈(煩渴) 706
[소아(小兒)] 만경풍(慢驚風) 1509
[소아(小兒)] 비는 곤한 것을 주관한다[脾主困] 696
[부인(婦人)] 해산 후의 부종[産後浮腫] 717
[부인(婦人)] 감기[感寒] 1036
[부인(婦人)] 자종(子腫) 934
[부인(婦人)] 오조(惡阻) 1118
[옹저(癰疽)] 폐옹(肺癰) 1263
[소갈(消渴)] 소갈이 변한 증상[消渴傳變證] 913
[소갈(消渴)]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2470
[기침(咳嗽)] 기천(氣喘) 1135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생기는 번갈[?亂後煩渴] 903
[곽란(?亂)]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1230
[허로(虛勞)] 비가 허한 데 쓰는 약[脾虛藥] 1041
[내상(內傷)] 내상때 조리하고 보하는 약[內傷調補藥] 1052
[내상(內傷)] 비위가 상하면 음식생각도 없고 입맛도 없다[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1992
[화(火)] 열을 내리는데 방법이 있다[退熱有法] 845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1
[한(寒)] 상한음독(傷寒陰毒) 704
[대변(大便)] 휴식리(休息痢) 997
[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759
[진액(津液)] 식은땀[盜汗] 1810
[혈(血)]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2318
[신형(身形)] 노인의 보양(老人保養) 1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