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냉감(冷疳)

한닥터 2011.10.17 조회 수 417 추천 수 0
? 冷疳 ○ 疳病久則目腫面?腹脹滑泄或靑或白或如垢?者爲冷疳宜至聖丸[入門] ○ 冷疳多渴好臥冷地煩躁啼?大便滑泄漸成羸瘦宜木香丸使君子丸疳在內目腫腹脹痢色靑白無常漸瘦弱此冷證也[錢乙]

☞ 냉감(冷疳)

○ 감병이 오래되면 눈이 붓고 얼굴이 거무스름하며 배가 창만하고 설사하는데 대변빛이 혹 푸르기도 하고 희기도 하고 곱 같은 것이 나오는 것은 냉감인데 지성환(至聖丸)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냉감은 갈증이 많고 찬 땅에 눕기를 좋아하며 번조해 하고 소리내어 울며 설사를 하여 점차 여위게 된다. 이런 데는 목향환(木香丸), 사군자환(使君子丸)을 쓰는 것이 좋다. 감병이 있어서 눈이 붓고 배가 창만하며 이질로 대변빛이 푸르기도 하고 희기도 한 것이 일정치 않으며 점차 몸이 여위고 약해지는 것은 냉증이다[전을].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344. 木香丸(목향환) by 한닥터
  2. 동의보감 감창(疳瘡) by 한닥터
  3. 동의보감 감리(疳痢) by 한닥터
  4. 동의보감 감사(疳瀉) by 한닥터
  5. 동의보감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사군자환(使君子丸)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환(木香丸)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지성환(至聖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흙(土部)] 약으로 쓰는 흙[土部] 506
[흙(土部)] 복룡간(伏龍肝, 오랜 가마밑 아궁이바닥의 누런 흙이다.) 532
[흙(土部)] 동벽토(東壁土, 동쪽벽의 흙) 565
[흙(土部)] 서벽토(西壁土, 서쪽벽의 흙) 468
[흙(土部)] 호황토(好黃土, 좋은 황토) 703
[흙(土部)] 적토(赤土) 501
[흙(土部)] 백악(白惡, 백토) 539
[흙(土部)] 해금사(海金沙, 실고사리알 씨) 545
[흙(土部)] 정저사(井底沙, 우물 밑의 모래) 488
[흙(土部)] 6월하중열사(六月河中熱沙, 6월에 강가에 있는 뜨거워진 모래) 499
[흙(土部)] 도중열진토 463
[흙(土部)] 토봉과상토(土蜂?上土, 땅벌집 위의 흙) 713
[흙(土部)] 단철조중회 412
[흙(土部)] 동회(冬灰, 명아주 태운 재) 528
[흙(土部)] 상시회(桑柴灰, 뽕나무 재) 634
[흙(土部)] 백초회(百草灰, 100가지 풀을 태운 재) 637
[흙(土部)] 백초상(百草霜) 753
[흙(土部)] 당묵(?墨, 가마밑 검댕) 462
[흙(土部)] 양상진(梁上塵) 532
[곡식(穀部)]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637
[곡식(穀部)] 호마(胡麻, 검은참깨 또는 검정참깨) 1015
[곡식(穀部)] 청양(靑?, 검정참깨잎) 911
[곡식(穀部)]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987
[곡식(穀部)]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567
[곡식(穀部)] 백유마엽(白油麻葉, 흰참깨잎) 589
[곡식(穀部)]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557
[곡식(穀部)] 마자(麻子, 삼씨) 537
[곡식(穀部)] 마분(麻?, 삼꽃가루) 470
[곡식(穀部)] 마엽(麻葉, 삼잎) 513
[곡식(穀部)] 마근(麻根, 삼뿌리)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