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척감(脊疳)

한닥터 2011.10.17 조회 수 461 추천 수 0
? 脊疳 ○ 小兒疳積漸黃瘦拍背如鼓鳴脊骨如鋸宜服蘆?丸露星膏[湯氏] ○ 脊疳者?蝕脊?骨如鋸齒拍背如鼓鳴十指背生瘡頻咬爪甲煩熱黃瘦下利宜蘆?丸[入門]

☞ 척감(脊疳)

○ 어린이의 감적으로 점차 누렇게 여위어지며 잔등을 치면 북소리가 나고 등뼈가 톱날같이 드러나는 데는 노회환(蘆?丸), 노성고(露星膏)를 먹이는 것이 좋다[탕씨]. ○ 척감은 벌레가 척추를 파 먹어서 등뼈가 앙상하여 톱날같이 되고 잔등을 치면 북소리가 나며 열 손가락 등쪽에 헌데가 나고 자주 손톱을 깨물며 번열이 나고 누렇게 여위며 설사한다. 이런 데는 노회환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감창(疳瘡)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노성고(露星膏)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처방집 노회환(蘆 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태독을 풀어 주는 법[初生解毒法] 461
[소아(小兒)] 목소리에는 가는 것과 탁한 것이 있고 울 때에도 눈물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聲有輕重啼有乾濕] 461
[소아(小兒)] 척감(脊疳) 461
[제상(諸傷)] 쇠붙이에 상하였을 때의 맥[金瘡脈候] 460
[물(水部)]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460
[침구(針灸)] 수소양삼초경의 순행[手少陽三焦經流注] 459
[입과 혀(口舌)]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목구멍과 혀가 허는 것[酒客喉舌生瘡] 459
[근(筋)] 수소음(手少陰)의 경근[手少陰之筋] 459
[용약(用藥)] 태양과 소음의 표병과 본병에 약을 다르게 쓴다[太陽少陰標本異藥] 459
[하(下)] 설사시켜야 할 증[宜下證] 459
[소아(小兒)] 5체에서는 머리가 제일이고 얼굴에는 오직 생기가 있어야 한다[五體以頭爲尊一面惟神可恃] 459
[새(禽部)] 노자시(盧?屎 가마우디) 459
[벌레(蟲部)] 석룡자(石龍子, 도마뱀) 459
[풀(草部)] 백미(白薇) 458
[진맥(診脈)] 맥을 짚어 보는 데는 가볍게 눌러 보는 것과 힘주어 눌러 보는 것이 있다[診有輕重] 458
[한(寒)] 태음병 때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太陰病腹脹滿] 458
[옹저(癰疽)] 정저(?疽) 458
[나무[木部]] 건칠(乾漆, 마른옻) 생칠(生漆, 생옻) 458
[용약(用藥)] 표와 본에 생긴 병에 약쓰는 선후차[標本用藥先後] 457
[해독(解毒)] 약쑥중독[艾毒] 457
[잡방(雜方)] 과실을 절이는 방법[淹藏果實法] 457
[침구(針灸)]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데 대하여[身形應九野] 456
[변증(辨證)] 3초가 작용하지 못하는 것[三焦不歸] 456
[한(寒)] 궐에는 장궐과 회궐이 있다[厥有藏厥?厥] 456
[부인(婦人)] 해산 후의 여러 가지 증[産後諸證] 456
[눈(眼)] 눈에 티나 먼지, 연가시가 들어간 것[眯目飛塵飛絲] 455
[가슴(胸)] 음식에 대한 금기[飮食禁忌] 455
[변증(辨證)] 3가지 허한 것과 3가지 실한 것[三虛三實] 455
[소아(小兒)] 감종(疳腫) 455
[풀(草部)] 백부근(白部根) 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