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한닥터 2011.10.18 조회 수 384 추천 수 0
◎ 藥毒成淋 ○ 一童子自初生患淋五七日必一發發則大痛下如黍粟者約一盃然後定意其父必多服下部藥遺毒在胎留於子之命門而然以紫雪和黃栢末丸梧子大?極乾熱湯下百丸又半日痛大作連腰腹乃下如黍粟者一椀許病減十分之八又與陳皮一兩桔梗木通各五錢作貼與之又下如黍粟者一合而安父得燥熱且能病子?母得之者乎書此以證東垣紅絲瘤之事[丹心]

☞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 어떤 아이가 갓 나서부터 임병을 앓았는데 5-7일이면 반드시 한번씩 발작하고 발작하면 몹시 아파하면서 기장쌀 같은 것을 약 1잔씩 누고 나서 진정되었다. 이것은 그의 아버지가 아마도 하초로 가는 약[下部藥]을 많이 먹어서 독이 자궁에 들어가 태아의 명문(命門)에 머물러 있어서 그렇게 된 것이다. 이런 때에는 자설(紫雪)과 황백가루를 함께 섞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햇볕에 바싹 말린다. 한번에 100알을 따끈한 물로 먹였더니 반 날쯤 지나서 허리와 배가 몹시 아파하면서 기장쌀과 같은 것을 1사발쯤 누고 병은 10분의 8이나 감해졌다. 또 진피@) 40g, 길경, 목통@) 각각 20g 등을 1첩으로 하여 먹였더니 또 기장쌀 같은 것을 1홉 가량 누고 편안해졌다. 어버지가 조열한 약을 먹어도 태아가 병이 되게 하는데 하물며 어머니가 그렇게 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이것을 기록하여 동원(東垣)의 홍사류에 관한 사실을 증명하려고 했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새(禽部)] 구욕(??) 380
[제상(諸傷)] 누에한테 물린 것[蠶咬傷] 381
[옹저(癰疽)] 옹저에 겹친 여러 가지 증상[癰疽雜證] 382
[눈(眼)] 양극난임(痒極難任) 383
[소아(小兒)]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384
[천지운기(天地運氣)] 6계년(六癸年)은 복명(伏明)의 해[六癸年伏明之紀] 385
[제상(諸傷)] 왕지네한테 물린 것[蜈蚣咬傷] 385
[풀(草部)] 남등근(藍藤根) 386
[풀(草部)] 수평(水萍) 부평(浮萍, 개구리밥) 386
[제창(諸瘡)] 내감창(內疳瘡) 386
[눈(眼)] 소아태중생췌(小兒胎中生贅) 387
[천지운기(天地運氣)] 축미년[丑未之歲] 387
[변증(辨證)] 내상과 외상을 갈라야 한다[辨內傷外傷] 387
[잡방(雜方)] 홍소주를 만드는 방법[造紅燒酒法] 387
[벌레(蟲部)] 오사(烏蛇) 387
[풀(草部)] 방기(防己) 388
[한(寒)] 상한잡증(傷寒雜證) 388
[소아(小兒)] 치경(?痙) 388
[눈(眼)] 옥예부만(玉瞖浮滿) 389
[변증(辨證)] 5병소발(五病所發) 389
[용약(用藥)] 약은 병에 맞게 변통해서 써야 한다[用藥權變] 389
[한(寒)] 상한에 예후가 나쁜 증[傷寒凶證] 389
[괴질(怪疾)] 송곳처럼 생긴 살이 나오는 것[肉出如錐] 389
[부인(婦人)] 방안에 일유신이 있는 곳[房中日遊神所在] 389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면서 소리를 지르는 것과 지르지 않는 것이 있다[驚?有聲無聲] 389
[짐승(獸部)] 패고피(敗鼓皮, 오래된 북가죽) 389
[풀(草部)] 속단(續斷) 390
[풀(草部)] 전호(前胡) 390
[눈(眼)] 수하심예(水瑕深瞖) 390
[부인(婦人)] 방예하는 법[禳法]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