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한닥터 2011.10.18 조회 수 384 추천 수 0
◎ 藥毒成淋 ○ 一童子自初生患淋五七日必一發發則大痛下如黍粟者約一盃然後定意其父必多服下部藥遺毒在胎留於子之命門而然以紫雪和黃栢末丸梧子大?極乾熱湯下百丸又半日痛大作連腰腹乃下如黍粟者一椀許病減十分之八又與陳皮一兩桔梗木通各五錢作貼與之又下如黍粟者一合而安父得燥熱且能病子?母得之者乎書此以證東垣紅絲瘤之事[丹心]

☞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 어떤 아이가 갓 나서부터 임병을 앓았는데 5-7일이면 반드시 한번씩 발작하고 발작하면 몹시 아파하면서 기장쌀 같은 것을 약 1잔씩 누고 나서 진정되었다. 이것은 그의 아버지가 아마도 하초로 가는 약[下部藥]을 많이 먹어서 독이 자궁에 들어가 태아의 명문(命門)에 머물러 있어서 그렇게 된 것이다. 이런 때에는 자설(紫雪)과 황백가루를 함께 섞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햇볕에 바싹 말린다. 한번에 100알을 따끈한 물로 먹였더니 반 날쯤 지나서 허리와 배가 몹시 아파하면서 기장쌀과 같은 것을 1사발쯤 누고 병은 10분의 8이나 감해졌다. 또 진피@) 40g, 길경, 목통@) 각각 20g 등을 1첩으로 하여 먹였더니 또 기장쌀 같은 것을 1홉 가량 누고 편안해졌다. 어버지가 조열한 약을 먹어도 태아가 병이 되게 하는데 하물며 어머니가 그렇게 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이것을 기록하여 동원(東垣)의 홍사류에 관한 사실을 증명하려고 했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79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609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소아(小兒)] 방예하는 법[禳法] 614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소아(小兒)] 음성[聲音] 451
[소아(小兒)]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523
[소아(小兒)]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999
[소아(小兒)] 경휵(驚?) 601
[소아(小兒)] 구토(嘔吐) 595
[소아(小兒)] 설사(泄瀉) 547
[소아(小兒)] 담천(痰喘) 714
[소아(小兒)] 번갈(煩渴) 706
[소아(小兒)]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376
[소아(小兒)]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403
[소아(小兒)] 가렵고 아픈 것[痒痛] 767
[소아(小兒)] 반란(斑爛) 485
[소아(小兒)] 추워서 떠는 것[寒戰] 476
[소아(小兒)] 이를 가는 것[咬牙] 570
[소아(小兒)] 피를 많이 흘리는 것[失血] 553
[소아(小兒)]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尿澁] 623
[소아(小兒)] 변비(便秘) 648
[소아(小兒)] 도엽(倒?) 548
[소아(小兒)] 흑함(黑陷) 704
[소아(小兒)]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