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젖을 떼는 법[斷乳]

한닥터 2011.10.18 조회 수 415 추천 수 0
◎ 斷乳 ○ 小兒二三歲時欲斷乳宜用?眉膏[入門]

☞ 젖을 떼는 법[斷乳]

○ 2-3살 때에 젖을 떼려면 화미고(?眉膏)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 ?眉膏 ○ 山梔子炒黑三箇雄黃朱砂輕粉各少許爲末淸油調勻候兒睡着濃抹?兒兩眉上醒來自不喫乳未效再?仍用墨?乳頭[入門]
☞ 화미고(?眉膏) ○ 치자(검게 볶은 것) 3개, 웅황, 주사, 경분 각각 조금.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참기름으로 개어 잠자는 애기의 두 눈썹 위에 진하게 발라 주면 잠을 깨어도 저절로 젖을 먹지 않게 된다. 효과가 없으면 다시 바르고 젖꼭지에 먹을 바른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이빨(牙齒)] 이빨이 흔들리는 것[牙齒動搖] 881
[가슴(胸)] 한실결흉(寒實結胸) 881
[배(腹)] 궂은 피로 배가 아픈 것[死血腹痛] 881
[피부(皮)] 음증의 반진[陰證發?] 1 881
[머리(頭)]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883
[가슴(胸)] 심통에는 9가지가 있다[心痛有九種] 883
[기침(咳嗽)] 습수(濕嗽) 883
[학질(?疾)] 풍학(風?) 883
[옹저(癰疽)] 옹저 때 담이 성하는 것[癰疽痰盛] 883
[부인(婦人)] 해산 후의 허로[産後虛勞] 884
[삼초부(三焦腑)] 3초병을 치료하는 방법[三焦病治法] 885
[제상(諸傷)] 매맞아 상한 것[杖傷] 885
[머리(頭)] 머리에 흰 비듬이 생기는 것[頭生白屑] 886
[사수(邪崇)] 사수와 시주를 치료하는 약[邪?尸?治藥] 886
[담부(膽腑)] 담병의 증상[膽病證] 887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膀胱外候] 889
[이빨(牙齒)] 이빨에 생긴 감닉창[牙齒疳 瘡] 889
[황달(黃疸)] 곡달(穀疸) 치료법 890
[귀(耳)] 갑자기 귀가 먹은 것[卒聾] 891
[옆구리(脇)] 건협통(乾脇痛) 891
[기침(咳嗽)] 기수(氣嗽) 891
[부인(婦人)] 임신 때 두루 쓰는 약[姙娠通治] 891
[풀(草部)] 지부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892
[담음(痰飮)] 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痰飮分淸濁] 893
[위부(胃腑)] 단방(單方)/위부 894
[오줌(小便)] 교장증(交腸證) 894
[소아(小兒)] 급경풍(急驚風) 894
[곡식(穀部)] 서미(黍米, 기장쌀) 896
[풀(草部)] 백출(白朮, 흰삽주) 창출(蒼朮, 삽주) 897
[옆구리(脇)] 풍한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風寒脇痛] 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