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마마도 유행성 전염병의 하나이다[痘瘡亦時氣之一端]

한닥터 2011.10.18 조회 수 355 추천 수 0
◎ 痘瘡亦時氣之一端 ○ 凡傷寒時氣熱毒內盛多發?瘡其瘡大小形如豌豆故謂之豌豆瘡其色或白或赤若頭作?漿戴白膿者其毒則輕若紫黑色作根隱隱在肌肉裏者其毒則重甚則周?遍身五內七竅皆有也[類聚]

☞ 마마도 유행성 전염병의 하나이다[痘瘡亦時氣之一端]

○ 대체로 상한과 계절적으로 유행하는 열병의 열독이 속으로 성하면 흔히 포창(?瘡)이 생긴다. 포창의 크기와 생김새는 완두콩과 같기 때문에 완두창(豌豆瘡)이라 한다. 그 빛은 희기도 하고 혹 붉기도 하다. 만일 그 꼭대기에 진물이 그득 차서 흰 고름이 되었으면 독기가 경한 것이다. 그리고 짙은 자줏빛의 근(根)이 은근히 살 속에 있으면서 그 독기가 심하면 온몸에 다 내돋을 뿐 아니라 5장과 7규(七竅)에도 다 돋는다[유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자초(紫草, 지치) 593
[풀(草部)] 전호(前胡) 390
[풀(草部)] 패장(敗醬, 마타리) 377
[풀(草部)] 백선(白鮮, 백선피) 425
[풀(草部)] 산장(酸漿, 꽈리) 408
[풀(草部)] 고본(藁本) 519
[풀(草部)] 석위(石韋) 와위(瓦韋) 416
[풀(草部)] 비해(??) 420
[풀(草部)] 백미(白薇) 458
[풀(草部)] 대청(大靑) 301
[풀(草部)] 애엽(艾葉, 약쑥잎) 애실(艾實, 약쑥씨) 525
[풀(草部)] 악실(惡實, 우엉씨) 악실근경(惡實根莖, 우엉뿌리와 줄기) 716
[풀(草部)] 수평(水萍) 부평(浮萍, 개구리밥) 386
[풀(草部)] 왕과(王瓜, 주먹참외) 왕과자(王瓜子, 주먹참외씨) 438
[풀(草部)] 지유(地楡, 오이풀뿌리) 530
[풀(草部)] 대계(大?, 엉겅퀴) 소계(小?, 조뱅이) 690
[풀(草部)] 택란(澤蘭, 쉽싸리) 436
[풀(草部)] 방기(防己) 388
[풀(草部)] 천마(天麻) 614
[풀(草部)] 아위(阿魏) 349
[풀(草部)] 고량강(高良薑, 양강) 492
[풀(草部)] 백부근(白部根) 454
[풀(草部)] 회향(茴香) 426
[풀(草部)] 관동화(款冬花) 391
[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374
[풀(草部)] 목단(牧丹, 모란뿌리) 414
[풀(草部)] 삼릉(三稜) 323
[풀(草部)] 강황(薑黃) 532
[침구(針灸)] 9가지 침의 적응증[製九鍼法] 610
[침구(針灸)] 침을 만드는 방법[鍊鍼法] 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