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한닥터 2011.10.18 조회 수 311 추천 수 0
◎ 照燈影法 ○ 凡痘形色雖險若燈光影如痘根圓暈相爲周旋根?紅活漿影深厚則皆可調治若根?不紅不起血死不活漿無影者雖輕難治故白日亦必用麻油紙撚照之眼法神巧全在於此[入門]

☞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 구슬의 모양과 빛이 비록 험하더라도 등불로 그 밑둥의 둘레를 돌려가면서 비추어 근(根)이 붉고 윤택하며 실린 물[漿]이 짙게 비치면 다 치료할 수 있다. 밑둥이 붉지 않고 부풀어 오르지 않으며 궂은 피와 실린 물이 비치지 않으면 비록 경하다 하더라도 치료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환한 낮이라도 반드시 참기름을 묻힌 종이 심지에 불을 붙여 비추어 보아야 한다. 눈으로 보아 신기하게 아는 것은 다 이 방법이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소아(小兒)]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609
[소아(小兒)]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791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소아(小兒)] 독을 푸는 것[解毒] 785
[소아(小兒)]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530
[소아(小兒)]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431
[소아(小兒)]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659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소아(小兒)]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576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소아(小兒)]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802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소아(小兒)] 열이 날 때 좋은 증과 나쁜 증[發熱時吉凶證] 637
[소아(小兒)]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958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
[소아(小兒)]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691
[소아(小兒)] 마마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48
[소아(小兒)] 마마에는 5가지 증이 있다[痘有五般證] 357
[소아(小兒)] 마마도 유행성 전염병의 하나이다[痘瘡亦時氣之一端] 355
[소아(小兒)] 마마를 진찰하는 법[辨痘證] 489
[소아(小兒)] 마마를 예방하는 법[痘瘡預防法] 490
[소아(小兒)] 마마를 쉽게 앓게 하는 처방[稀痘方] 509
[소아(小兒)] 두, 반, 진 3가지 증은 주로 태독이 원인으로 된다[痘?疹三證專由胎毒] 407
[소아(小兒)] 어린이가 여러 가지 병으로 죽는 증[小兒諸病死證] 437
[소아(小兒)] 젖을 떼는 법[斷乳]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