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음식(飮食)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306 추천 수 0
◎ 飮食 ○ 痘以脾胃爲主自始至終以能食爲順又曰淡食爲佳 ○ 貫膿時宜食老鷄補氣收?時宜食雄鴨收毒或精肥猪肉惟終始忌魚#以助痰滯氣故也 ○ 痘瘡忌食生冷肥?鹽鹹茶醋酒?蒜魚羊肉猪肝血枾棗飴糖特忌鷄鵝鴨卵烹食令兒目盲[入門] ○ 勿食酸辣五辛(?蒜薑??)有毒之物恐熱毒熏肝生眼中?障[綱目] ○ 痘瘡首尾切不可飮冷水少與滾熟水則可 ○ 自發熱至收?諸般血肉皆不宜食盖助火邪滋熱毒故也若脾胃虛弱則止用?魚(卽石首魚)及精猪肉去盡脂肪淡煮少食以助滋味[醫鑑] ○ 乳母當愼口不可令飢及受風寒必變黑歸腎難治[海藏] ○ ?兒未能服藥則當兼治乳母令服藥釀乳以飼之?其氣血淸和飮食有節投以調氣通榮之劑則瘡心肥滿光澤無陷伏之憂矣[正傳] ○ 乳母食後須?去宿乳令盡乃服藥卽仰臥?時乃令兒?其乳汁[綱目]

☞ 음식(飮食)

○ 마마 때는 비위(脾胃)가 기본이 되므로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잘 먹으면 순조롭게 경과한다. 그리고 싱겁게 먹는 것이 좋다. ○ 고름이 잡힐 때에는 묵은 닭[老鷄]을 먹여서 기(氣)를 보할 것이고 딱지가 앉을 때에는 숫오리나 살찐 돼지고기를 먹여 독을 없애야 한다. 그리고 오직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비린내 나는 생선만은 먹이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담(痰)을 돕고 기를 막히게[滯] 하기 때문이다. ○ 마마 때에 생것과 찬 것, 살찌고 기름진 것, 짠 것, 차, 식초, 술, 파, 마늘, 물고기, 양고기, 돼지간, 피, 감, 대추, 엿, 사탕 등을 먹여서는 안 된다. 특히 닭, 게사니[鵝], 오리알 등을 삶아 먹이면 어린이의 눈에 좋지 않다[입문]. ○ 신 것, 5가지 매운 것(파, 마늘, 생강, 부추, 염교)과 독이 있는 것을 먹이지 말 것이다. 그것은 열독(熱毒)이 간을 훈증하여 예장(?障)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강목]. ○ 마마 때에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찬물을 마시지 않게 하며 끓인 물을 조금씩 먹이는 것이 좋다. ○ 열이 나기 시작한 때로부터 딱지가 앉을 때까지 온갖 피와 고기를 먹여서는 안 된다. 그것은 화사(火邪)를 돕고 열독을 더하게 하기 때문이다. 만일 비위(脾胃)가 허약하면 다만 조기와 기름을 뺀 돼지정육을 싱겁게 끓여 조금씩 먹여 음식맛을 돋울 것이다[의감]. ○ 유모가 음식에 주의하지 못하고 배고프게 하거나 풍한을 받게 하면 반드시 검은 빛으로 변하여 신(腎)으로 가는데 이것은 치료하기 어렵다[해장]. ○ 갓난아이가 약을 먹지 못할 때에는 유모에게 약을 먹여 아기가 그 젖을 빨게 한다. 유모로 하여금 기혈(氣血)을 순조롭게 하고 음식을 적당히 먹으면서 기를 고르게 하고 혈을 잘 돌게 하는 약을 먹이면 구슬이 충실하고 윤택해져서 속으로 꺼져 들어갈 염려가 없게 된다[정전]. ○ 유모가 음식을 먹은 뒤에 묵은 젖은 다 짜버리고 약을 먹고 나서 반듯이 누워 잠깐 있다가 아기에게 그 젖을 빨려야 한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입과 혀(口舌)] 혀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것[舌長舌短] 901
[입과 혀(口舌)] 설태가 낀 것[舌上生胎] 809
[입과 혀(口舌)] 혀를 문지르는 방법[擦舌法] 531
[입과 혀(口舌)] 혓바늘이 돋는 것[舌生芒刺] 1207
[입과 혀(口舌)] 입과 혀의 치수[口舌寸數] 472
[입과 혀(口舌)] 하품하다가 턱이 어긋난 것[失欠脫?] 4142
[입과 혀(口舌)] 저절로 혀와 볼을 깨무는 것[自?舌頰] 747
[입과 혀(口舌)] 침을 흘리는 것[口流涎] 553
[입과 혀(口舌)] 입을 열지 못할 경우[口?不開] 518
[입과 혀(口舌)] 입술과 혀를 보고 병을 알아내는 것[視唇舌占病] 717
[입과 혀(口舌)] 어린이의 입 안과 혀의 병[小兒口舌病] 765
[입과 혀(口舌)] 입 안과 혀가 허는데 뿌리는 약[口舌瘡?付藥] 650
[입과 혀(口舌)] 입 안과 혀가 헌 것을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口舌瘡外治法] 777
[입과 혀(口舌)]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목구멍과 혀가 허는 것[酒客喉舌生瘡] 459
[입과 혀(口舌)] 입에 벌레가 들어간 것[諸蟲入口] 489
[입과 혀(口舌)] 혀가 끊어진 것을 잇는 방법[補舌斷方] 450
[입과 혀(口舌)] 단방(單方)/입과 혀 568
[입과 혀(口舌)] 침뜸치료[鍼灸法]/입과 혀 582
[이빨(牙齒)] 아래위의 잇몸은 수양명경과 족양명경에 속한다[上下?屬手足陽明] 996
[이빨(牙齒)] 이빨에 병이 생기면 찬 것과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齒病惡寒惡熱] 826
[이빨(牙齒)] 이빨이 튼튼해지고 약해지는 것[牙齒盛衰] 647
[이빨(牙齒)] 이빨은 이름이 각기 다르다[牙齒異名] 551
[이빨(牙齒)] 맥 보는 법[脈法]/이빨 644
[이빨(牙齒)] 치통에는 7가지가 있다[牙齒痛有七] 837
[이빨(牙齒)] 풍열로 이빨이 아픈 것[風熱痛] 941
[이빨(牙齒)] 풍랭으로 이빨이 아픈 것[風冷痛] 822
[이빨(牙齒)] 열로 이빨이 아픈 것[熱痛] 1217
[이빨(牙齒)] 찬 기운으로 이빨이 아픈 것[寒痛] 816
[이빨(牙齒)] 담독으로 이빨이 아픈 것[毒痰痛] 1024
[이빨(牙齒)] 어혈로 이빨이 아픈 것[瘀血痛] 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