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351 추천 수 0
◎ 痘疹宜食物 ○ 宜食菉豆 ○ 赤小痘 ○ 黑豆 ○ 雄猪肉(山猪尤佳) ○ 石首魚 ○ 廣魚 ○ 鰒魚 ○ 薯? ○ 海松子 ○ 葡萄 ○ 栗子(?之佳) ○ 蔓菁 ○ 蘿? ○ 苽? ○ 軟白飯 ○ ?米粥(泄瀉可食) ○ 蕎麥?(起脹可食) ○ 母酒(起脹可食) ○ 雪? ○ 砂糖[俗方]

☞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 녹두, 적소두,검정콩(흑두), 수퇘지고기(雄猪肉, 멧돼지고기가 더 좋다), 조기(석수어), 넙치(광어), 보가지(복어), 산약,잣(해송자), 포도, 밤(건율, 잿불에 묻어 구운 것이 좋다), 순무(蔓菁), 무(蘿?), 오이김치(苽?), 진밥(軟白飮), 찹쌀죽(설사하는 데 먹이면 좋다), 메밀국수(蕎麥?, 물이 실릴 때 먹이면 좋다), 술찌꺼기(母酒, 물이 실릴 때 먹이면 좋다), 설기떡, 사탕(砂糖) 등을 먹이는 것이 좋다[속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상한음궐(傷寒陰厥) 816
[제창(諸瘡)] 바르거나 붙이는 약[?貼藥] 816
[대변(大便)]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817
[소갈(消渴)] 치료하기 어려운 증[不治證] 817
[소아(小兒)] 간열(肝熱) 818
[눈(眼)]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眼昏] 818
[대변(大便)] 도변법(導便法, 관장법) 819
[근(筋)] 전근(轉筋, 쥐가 나는 것) 819
[한(寒)] 태양경이 풍과 한에 동시에 상한 것[太陽兩傷風寒] 819
[화(火)] 5장열증의 감별[辨五臟熱證] 819
[인부(人部)] 인뇨(人尿, 오줌) 819
[침구(針灸)] 침놓는 깊이를 정하는 방법[鍼刺淺深法] 820
[발(足)] 열궐(熱厥)로 생긴 위증[熱厥成?] 820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플 때 세게 억누르는 약[心胃痛劫藥] 821
[발(足)] 각기 때 위험한 증상[脚氣危證] 821
[심장(心臟)] 심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心病間甚] 822
[대변(大便)] 설사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泄瀉宜用升陽之藥] 822
[이빨(牙齒)] 풍랭으로 이빨이 아픈 것[風冷痛] 822
[허리(腰)] 침뜸치료[鍼灸法]/허리 822
[발(足)] 티눈[肉刺] 822
[풀(草部)] 당귀(當歸) 823
[전음(前陰)] 퇴산(?疝) 823
[제창(諸瘡)] 감루(疳瘻) 823
[꿈(夢)] 양기(陽氣)가 드나드는[出入] 데 따라 자거나 깨어난다[陽氣之出入爲寤寐] 824
[담음(痰飮)] 담음을 토하게 하는 방법[痰飮吐法] 824
[해독(解毒)] 박새뿌리중독[藜蘆毒] 824
[부인(婦人)] 해산 후에 젖을 나오게 하는 법[下乳汁] 824
[간장(肝臟)] 간장을 수양하는 법[肝臟修養法] 825
[이빨(牙齒)] 이빨에 병이 생기면 찬 것과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齒病惡寒惡熱] 825
[토[吐]] 도창법(倒倉法) 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