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한닥터 2011.10.22 조회 수 488 추천 수 0
◎ 服藥法 ○ 黃帝曰有毒無毒服有約乎岐伯曰病有久新方有大小有毒無毒固有常制矣大毒治病十去其六常毒治病十去其七小毒治病十去其八無毒治病十去其九穀肉果菜食養盡之無使過之傷其正也[內經] ○ 若用毒藥療病先起如黍粟病去卽止不去倍之不去十之取去爲度[本草] ○ 病在胸膈以上者先食後服藥病在心腹以下者先服藥而後食病在四肢血?者宜空腹而在旦病在骨髓者宜飽滿而在夜[本草] ○ 病在上爲天煎藥宜武宜淸服宜緩飮 ○ 病在下爲地煎藥宜文宜濃服宜急飮[易老] ○ 在上不厭頻而少在下不厭頓而多少服則滋榮於上多服則峻補於下[東垣] ○ 大凡服藥寒藥熱飮熱藥寒飮中和之劑溫而服之[種杏] ○ 服湯令溫熱易下冷則嘔湧[本草] ○ 若嘔吐難納藥者必徐徐一匙而下不可太急也[入門] ○ 補腎之藥必須五更初未言語前服之盖人五更初腎氣開?一言語咳唾腎氣卽合當腎開時靜?進藥功效殊勝[直指]

☞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 황제(黃帝)가 "독이 있는 약과 독이 없는 약을 먹는 방법은 어떤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오랜 병과 오래지 않은 병이 있고 처방에는 대방과 소방이 있으며 독이 있는 약과 없는 약이 있으므로 먹는 데도 일정한 방법이 있다. 독이 센 약[大毒]으로 병을 치료할 때에는 병의 10분의 6을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 보통 정도 독이 있는 약[常毒]으로 치료할 때에는 10분의 7을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 약간 독이 있는 약[小毒]으로 치료할 때에는 병의 10분의 8을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 독이 없는 약[無毒]으로 병을 치료할 때에는 병의 10분의 9를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 그 다음에는 곡식과 고기, 과실, 채소로 영양을 보충하여 병을 다 낫게 해야 한다. 그리고 약을 위에서 말한 것보다 지나치게 써서 정기를 상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고 하였다[내경]. ○ 만일 독이 있는 약을 써서 병을 치료할 때에는 처음에 기장쌀이나 좁쌀알만한 것을 써야 하는데 병이 나으면 그만두어야 한다. 그러나 낫지 않으면 양을 곱으로 써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처음량의 10배 정도 쓰되 나을 때까지 써야 한다[본초]. ○ 병이 횡격막 위[胸膈以上]에 있을 때에는 끼니 뒤에 약을 먹어야 하고 병이 명치 밑[心腹以下]에 있을 때에는 약을 먹은 다음 음식을 먹어야 한다. 병이 팔다리나 혈맥에 있을 때에는 아침 빈속에 약을 먹어야 하고 병이 골수에 있을 때에는 밥을 배불리 먹은 다음 밤에 약을 먹어야 한다[본초]. ○ 상초에 있는 병은 하늘과 통하므로 이때에 쓰는 약은 센 불에 연하게 달여서 천천히 먹는 것이 좋다. ○ 하초에 있는 병은 땅과 통하므로 이때에 쓰는 약은 약한 불에 진하게 달여서 빨리 먹는 것이 좋다[역로]. ○ 상초에 병이 있을 때에는 약을 자주 조금씩 먹는 것이 좋고 하초에 병이 있을 때에는 단번에 많이씩 먹는 것이 좋다. 조금씩 먹으면 약 기운이 상초에 퍼지고 많이 먹으면 하초를 세게 보한다[동원]. ○ 대체로 약을 먹을 때에는 성질이 찬약은 덥게 하여 먹고 더운약은 차게 하여 먹으며 중화하는 약은 따뜻하게 하여 먹어야 한다[종행]. ○ 달임약은 따뜻하게 하거나 덥게 하여 먹어야 쉽게 내려간다. 차게 하여 먹으면 구역이 나면서 올라온다[본초]. ○ 토하기[嘔吐] 때문에 약을 먹기가 곤란할 때에는 반드시 한 숟가락씩 천천히 먹어야 하지 너무 급하게 먹어서는 안 된다[입문]. ○ 신(腎)을 보하는 약은 반드시 새벽 4시경 말하기 전에 먹어야 한다. 대체로 신기는 새벽 4시경에 처음으로 발동하였다가 말을 하거나 기침하거나 침을 뱉으면 곧 막힌다. 그러므로 반드시 약은 신기가 동할 때에 조용히 먹어야 약 효과가 아주 좋다[직지].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잡방(雜方)] 과실나무 위에 까마귀나 새가 오지 못하게 하는 방법[?果樹上烏鳥法] 488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488
[흙(土部)] 정저사(井底沙, 우물 밑의 모래) 488
[머리(頭)] 두통 때 치료할 수 없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頭痛不治難治證] 487
[토[吐]] 토하게 해야 할 증[可吐證] 487
[사수(邪崇)] 맥 보는 법[脈法] 487
[물고기(魚部)] 어회(魚膾, 물고기회) 487
[풀(草部)] 택사(澤瀉) 486
[한(寒)] 음궐과 양궐을 갈라보는 방법[辨陰陽厥法] 486
[소아(小兒)] 5장감(五臟疳) 486
[천지운기(天地運氣)] 주기(主氣) 485
[진맥(診脈)] 살이 쪘거나 여윈 것, 키가 크거나 작은 데 따라 맥이 다르다[肥瘦長短異脈] 485
[진맥(診脈)] 죽을 수 있는 것을 예견하는 여러 가지 맥[諸死脈] 485
[풍(風)] 비증 때의 치료방법[痺病治法] 485
[학질(?疾)] 침뜸치료[鍼灸法] 485
[소아(小兒)] 어린이에게 젖을 먹이는 법[小兒乳哺法] 485
[소아(小兒)] 반란(斑爛) 485
[새(禽部)] 원앙(鴛鴦) 485
[벌레(蟲部)] 자패(紫貝) 485
[변증(辨證)] 4철 생기는 병[四時生病] 484
[용약(用藥)] 약을 쓰는 기본 방법[用藥大法] 484
[적취(積聚)] 징가 때 찜질하는 방법[??法] 484
[제창(諸瘡)] 꺼릴 것[禁忌法] 484
[제창(諸瘡)] 뜸치료[灸法] 484
[제상(諸傷)] 꺼릴 것[禁忌法] 484
[잡방(雜方)] 사람을 용감해지게 하는 방법[令人勇] 484
[소아(小兒)] 유모를 고르는 법[擇乳母法] 484
[짐승(獸部)] 토두골(兎頭骨) 토육(兎肉) 484
[침구(針灸)] 5장을 찌르면 죽는다[刺中五臟死候] 483
[눈(眼)] 도첩권모(倒睫拳毛) 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