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서례(湯液序例)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한닥터 2011.10.22 조회 수 475 추천 수 0
◎ 濕化成 ○ 其兼氣溫凉寒熱以胃應之其味甘辛鹹苦以脾應之 ○ 黃?人參甘草當歸熟地黃半夏蒼朮白朮陳皮靑皮藿香檳?蓬朮三稜阿膠訶子杏仁桃仁麥芽紫草蘇木[東垣]

☞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 약의 성질은 따뜻한 것, 서늘한 것, 찬 것, 열한 것이 있는데 다 같이 위(胃)에 작용한다. 그리고 맛에는 단것, 매운 것, 짠 것, 쓴 것이 있는데 다 같이 비(脾)에 작용한다. ○ 단너삼, 인삼, 감초, 당귀, 찐지황, 끼무릇, 삽주, 흰삽주, 귤껍질, 선귤껍질, 곽향, 빈랑, 봉출, 삼릉, 갖풀(阿膠), 가자, 살구씨, 봉숭아씨, 보리길금, 지치, 소목 같은 것이 그런 약이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머리(頭)] 습궐두통(濕厥頭痛) 908
[해독(解毒)] 고독을 치료하는 방법[蠱毒治法] 908
[전음(前陰)] 근산에 쓰는 약[筋疝藥] 909
[해독(解毒)] 금이나 은이나 구리나 주석이나 철에 중독된 것[金銀銅錫鐵毒] 909
[눈(眼)]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오는 것[衝風淚出] 911
[가슴(胸)] 비(?)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有寒熱] 911
[기침(咳嗽)] 풍수(風嗽) 911
[곡식(穀部)] 청양(靑?, 검정참깨잎) 911
[기침(咳嗽)] 울수(鬱嗽) 912
[소갈(消渴)] 소갈이 변한 증상[消渴傳變證] 913
[한(寒)]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914
[신장(腎臟)] 신장에 대한 도인법[腎臟導引法] 915
[얼굴(面)] 단방(單方)/얼굴 916
[옹저(癰疽)] 간옹(肝癰) 916
[머리(頭)] 열훈(熱暈) 917
[목구멍(咽喉)] 급후비(急喉痺) 917
[가슴(胸)] 지결(支結) 917
[습(濕)] 주습(酒濕) 917
[귀(耳)] 궐역으로 귀가 먹은 것[厥聾] 918
[내상(內傷)] 노권상(勞倦傷) 918
[제창(諸瘡)] 염창(?瘡) 918
[신(神)] 신병(神病)에 약 쓰는 비결[神病用藥訣] 919
[가슴(胸)] 주심통(?心痛) 919
[피부(皮)] 내상으로 반진이 돋은 것[內傷發?] 920
[적취(積聚)] 열울(熱鬱) 920
[소아(小兒)] 배가 아프고 불러 오르는 것[腹痛腹脹] 920
[심장(心臟)] 단방(單方)/심장 921
[창만(脹滿)] 기창(氣脹) 치료법 922
[머리(頭)] 기훈(氣暈) 923
[벌레(蟲部)] 상표초(桑??, 사마귀알집) 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