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서례(湯液序例)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한닥터 2011.10.22 조회 수 546 추천 수 0
◎ 燥降收 ○ 氣之薄者陽中之陰氣薄則發泄 ○ 茯?澤瀉猪?滑石瞿麥車前子木通燈心五味子桑白皮白芍藥犀角天門冬烏梅牧丹皮地骨皮枳殼琥珀連翹枳實麥門冬[東垣]

☞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 냄새가 약한 것[氣之薄者]은 양 가운데 음[陽中之陰]에 속한다. 그러므로 냄새가 약한 것은 발산시켜서 나가게 한다. ○ 솔풍령, 택사, 저령, 곱돌, 패랭이꽃, 길짱구씨, 으름덩굴, 골풀속살, 오미자, 뽕나무뿌리껍질, 집함박꽃뿌리, 서각, 천문동, 오매, 모란뿌리껍질, 지골피, 지각, 호박, 연교, 지실, 맥문동 같은 것이 그런 약이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상한에 대한 10가지 권고[傷寒十勸] 476
[잡방(雜方)] 물고기를 죽이는 방법[殺魚] 476
[소아(小兒)] 포로감(哺露疳) 476
[소아(小兒)] 추워서 떠는 것[寒戰] 476
[후음(後陰)] 누치(瘻痔) 477
[진맥(診脈)] 맥에는 위기가 기본이다[脈以胃氣爲本] 477
[기침(咳嗽)] 코에 냄새를 쏘이는 방법[?法] 477
[온역(瘟疫)] 온역과 열병 때 치료하지 못하는 증[瘟疫熱病不治證] 477
[제창(諸瘡)] 뜸치료[灸法] 477
[잡방(雜方)] 엿을 달이는 방법[造飴糖法] 47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477
[곡식(穀部)] 부소맥(浮小麥, 밀쭉정이) 477
[풀(草部)] 마황(麻黃) 478
[한(寒)] 한궐로 갑자기 까무러친 것[寒厥暴亡] 478
[옹저(癰疽)] 옹저 때 화침하는 방법[癰疽烙法] 478
[부인(婦人)] 딸꾹질[咳逆] 478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호하는 법[小兒保護法] 478
[소아(小兒)] 감리(疳痢) 478
[근(筋)] 족궐음(足厥陰)의 경근[足厥陰之筋] 479
[천지운기(天地運氣)] 5음이 크고 작은 것[五音大小] 479
[천지운기(天地運氣)] 6신년(六辛年)은 확류(?流)의 해[六辛年?流之紀] 479
[제창(諸瘡)] 침뜸치료[鍼灸法] 479
[제상(諸傷)] 벌한테 쏘인 것[蜂?傷] 479
[괴질(怪疾)] 사가(蛇?) 479
[소아(小兒)] 감갈(疳渴) 479
[채소(菜部)] 홍촉규(紅蜀葵) 홍촉규엽(紅蜀葵葉, 홍촉규잎) 홍촉규화(紅蜀葵花, 홍촉규꽃) 홍촉규자(紅蜀葵子, 홍촉규씨) 479
[채소(菜部)] 향유(香?, 노야기) 479
[근(筋)] 족소음(足少陰)의 경근[足少陰之筋] 480
[진맥(診脈)] 모든 맥의 중요한 지침[諸脈綱領] 480
[제상(諸傷)] 단방(單方) 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