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서례(湯液序例)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한닥터 2011.10.22 조회 수 451 추천 수 0
◎ 用根梢法 ○ 凡諸藥根在土者中半以上者氣?上行以生苗者爲根中半以下者氣?下行以入土者爲梢病在中焦者用身盖上焦用根下焦用梢者根升而梢降故也[東垣] ○ 大凡藥根有上中下人之身半以上用頭在中焦則用身身半以下則用梢 ○ 凡用藥以頭身梢分爲上中下用者乃述類象形也[丹心] ○ 當歸一物頭止血上行身養血中守梢破血下流 ○ 黃芩上截虛者以降肺火下截實者以瀉大腸火防風桔梗之類亦然[正傳]

☞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 모든 약뿌리[藥根]에서 흙 속에 있는 뿌리의 절반 위의 기운은 위로 올라가서 싹이 나게 한다. 이 부분을 뿌리[根]라고 한다. 절반 아래의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서 땅 속으로 들어가는데 이 부분을 잔뿌리[梢]라고 한다. 중초에 병이 있을 때에는 약뿌리에서 몸통을 쓰고 상초에 병이 있을 때에는 뿌리를 스며 하초에 병이 있을 때에는 잔뿌리를 써야 한다. 그것은 뿌리의 기운은 올라가고 잔뿌리의 기운은 내려가기 때문이다[동원]. ○ 대체로 약뿌리를 상, 중, 하로 나누는데 윗도리[人之身半以上]의 병에는 약뿌리의 대가리쪽을 쓰고 중초에 병이 있을 때에는 몸통을 쓰며 아랫도리에 병이 있을 때에는 잔뿌리를 쓴다. ○ 모든 약은 쓸 때에 대가리, 몸통, 잔뿌리를 상, 중, 하로 나누어 쓰는데 이것은 물체의 형태를 갈라서 그에 맞게 쓰는 것이다[단심]. ○ 당귀 하나를 보아도 대가리 부분을 피를 멎게 하고 약 기운이 위로 올라가게 하며 몸통 부분은 혈을 보하면서 약 기운이 중초에 머물러 있게 하고 잔뿌리 부분은 궂은 피를 헤치며[破血] 약 기운이 아래로 내려가게 한다. ○ 속썩은풀(黃芩)의 속이 빈 윗부분은 폐화(肺火)를 내리고 속이 비지 않은 아래 부분은 대장의 화를 내린다. 방풍이나 도라지 같은 것도 이와 같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454
[근(筋)] 수태양(手太陽)의 경근[手太陽之筋] 454
[변증(辨證)] 표와 본이 서로 반대되는 것[標本相反] 454
[제창(諸瘡)] 포도창(蒲萄瘡) 454
[제상(諸傷)] 그리마한테 상한 것[??傷] 454
[짐승(獸部)] 진육(震肉, 벼락맞아 죽은 짐승의 고기) 454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가 만나는 날짜[交六氣時日] 453
[천지운기(天地運氣)] 남정과 북정에 대하여[論南北政] 453
[제창(諸瘡)] 치료하기 어려운 증[不治證] 453
[눈(眼)] 돌기정고(突起睛高) 452
[배(腹)] 맥 보는 법[脈法]/배 452
[심병(審病)] 5장이나 음양의 기가 끊어진 증상[五臟及陰陽絶候] 452
[한(寒)] 음궐과 양궐이 경하고 중한 것[陰陽厥輕重] 452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으로 목이 쉬는 것[喘嗽聲嘶] 452
[제창(諸瘡)] 단방(單方) 452
[배꼽(臍)] 어린이의 배꼽이 헌것[小兒臍瘡] 451
[하(下)] 설사는 신중하게 시켜야 한다[下法宜愼] 451
[괴질(怪疾)] 10손가락이 썩어 떨어지는 것[十指斷壞] 451
[소아(小兒)] 음성[聲音] 451
[탕액서례(湯液序例)]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451
[곡식(穀部)]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451
[짐승(獸部)] 황서(黃鼠, 족제비) 451
[벌레(蟲部)] 대매(?瑁, 대모) 451
[눈(眼)] 동인건결(瞳人乾缺) 450
[입과 혀(口舌)] 혀가 끊어진 것을 잇는 방법[補舌斷方] 450
[근(筋)] 수양명(手陽明)의 경근[手陽明之筋] 450
[괴질(怪疾)] 몸이 뱀모양으로 붓는 것[身腫如蛇狀] 450
[잡방(雜方)] 의향(衣香) 450
[변증(辨證)] 장부병이 빨리 전해 가는 것[臟腑病急傳] 449
[변증(辨證)] 2시, 4이, 4기[二尸四異四奇] 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