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水部)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547 추천 수 0
◈ 秋露水 ○ ??이슬믈性平味甘無毒止消渴令人身輕不飢肌肉悅澤朝露未晞時拂取用之 ○ 在百草頭露愈百疾 ○ 栢葉上露主明目 ○ 百花上露令人好顔色[本草] ○ 繁露水者是秋露繁濃時露也作盤以收之食之延年不飢[本草] ○ 秋露水者稟收斂肅殺之氣故可以烹煎殺?之藥及調付殺癩?疥癬諸?之劑也[正傳]

☞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 성질은 평(平)하며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소갈증을 낫게 하고 몸을 가벼워지게 하며 배가 고프지 않게 한다. 또한 살빛을 윤택해지게 한다. 아침 해가 뜨기 전에 이슬을 받아 쓴다. ○ 백가지의 풀 끝에 맺힌 이슬[百草頭露]로는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 측백나무잎 위의 이슬은 눈을 밝아지게 한다. ○ 백가지 꽃 위의 이슬은 얼굴빛을 좋아지게 한다[본초]. ○ 번로수(繁露水)라는 것은 이슬량이 많고 진한 가을의 이슬을 말한다. 이것을 쟁반에 받아서 먹으면 오랫동안 살 수 있고 배도 고프지 않다[본초]. ○ 가을의 이슬은 걷어 들이고 숙살(肅殺)의 성질이 있기 때문에 여기에 헛것을 없애는 약을 달이거나 문둥병, 옴, 버짐에 쓰거나 여러 가지 충을 죽이는 약을 개서 붙일 수 있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귀(耳)] 귀와 눈은 양기를 받아야 총명해진다[耳目受陽氣以聰明] 624
[귀(耳)] 귀[耳]는 신(腎)과 관련된 구멍[竅]이다[耳者腎之竅] 781
[귀(耳)] 맥 보는 법[脈法]/귀 601
[귀(耳)] 귀울이[耳鳴] 2154
[귀(耳)] 귀가 먹은 것[耳聾] 1159
[귀(耳)] 풍으로 귀가 먹은 것[風聾] 790
[귀(耳)] 습으로 귀가 먹은 것[濕聾] 928
[귀(耳)] 허하여 귀가 먹은 것[虛聾] 1107
[귀(耳)] 지나치게 힘든 일을 하여 귀가 먹은 것[勞聾] 859
[귀(耳)] 궐역으로 귀가 먹은 것[厥聾] 918
[귀(耳)] 갑자기 귀가 먹은 것[卒聾] 891
[귀(耳)] 소리가 중복해 들릴 때[耳重聽] 798
[귀(耳)] 귀에서 진물이 흐르는 것[?耳] 1314
[귀(耳)] 귀가 아프다가 고름이 나오는 것[耳痛成膿耳] 1419
[귀(耳)] 귀가 가려운 것[耳痒] 1001
[귀(耳)] 막힌 것을 열어 주고 기를 통하게 하는 약[透關通氣藥] 1023
[귀(耳)] 수양하는 방법[修養法]/귀 623
[귀(耳)] 치료하지 못하는 증[不治證]/귀 570
[귀(耳)] 귀에 여러 가지 벌레가 들어간 것[諸蟲入耳] 671
[귀(耳)] 단방(單方)/귀 714
[귀(耳)] 침뜸치료[鍼灸法]/귀 630
[코(鼻)] 코는 현빈의 문호이다[鼻爲玄牝之門戶] 630
[코(鼻)] 코는 폐와 통하는 구멍이다[鼻爲肺之竅] 760
[코(鼻)] 맥 보는 법[脈法]/코 530
[코(鼻)] 비연증[鼻淵] 1583
[코(鼻)] 비구(鼻?) 996
[코(鼻)] 코피(鼻?) 654
[코(鼻)] 코가 메는 것[鼻塞] 1204
[코(鼻)] 코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데 쓰는 처방[鼻不聞香臭方] 750
[코(鼻)] 코 안에 군살이 생긴 것[鼻痔] 1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