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水部)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547 추천 수 0
◈ 秋露水 ○ ??이슬믈性平味甘無毒止消渴令人身輕不飢肌肉悅澤朝露未晞時拂取用之 ○ 在百草頭露愈百疾 ○ 栢葉上露主明目 ○ 百花上露令人好顔色[本草] ○ 繁露水者是秋露繁濃時露也作盤以收之食之延年不飢[本草] ○ 秋露水者稟收斂肅殺之氣故可以烹煎殺?之藥及調付殺癩?疥癬諸?之劑也[正傳]

☞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 성질은 평(平)하며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소갈증을 낫게 하고 몸을 가벼워지게 하며 배가 고프지 않게 한다. 또한 살빛을 윤택해지게 한다. 아침 해가 뜨기 전에 이슬을 받아 쓴다. ○ 백가지의 풀 끝에 맺힌 이슬[百草頭露]로는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 측백나무잎 위의 이슬은 눈을 밝아지게 한다. ○ 백가지 꽃 위의 이슬은 얼굴빛을 좋아지게 한다[본초]. ○ 번로수(繁露水)라는 것은 이슬량이 많고 진한 가을의 이슬을 말한다. 이것을 쟁반에 받아서 먹으면 오랫동안 살 수 있고 배도 고프지 않다[본초]. ○ 가을의 이슬은 걷어 들이고 숙살(肅殺)의 성질이 있기 때문에 여기에 헛것을 없애는 약을 달이거나 문둥병, 옴, 버짐에 쓰거나 여러 가지 충을 죽이는 약을 개서 붙일 수 있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삽예(澁翳) 472
[눈(眼)] 풍기와편(風起喎偏) 472
[입과 혀(口舌)] 입과 혀의 치수[口舌寸數] 472
[전음(前陰)] 도인법(導引法)/전음 472
[한(汗)] 땀을 천천히 내는 것과 빨리 내는 것[發汗緩急] 472
[옹저(癰疽)] 옹저 때 뜸뜨는 방법[癰疽灸法] 472
[제상(諸傷)] 참대꼬챙이에 찔린 것[簽刺傷] 472
[부인(婦人)] 임신부의 뱃속에서 태아가 우는 소리 같은 것이 나는 것[兒在腹中哭] 472
[곡식(穀部)] 백량미(白粱米) 472
[짐승(獸部)] 궤육(?肉, 효근노루) 472
[젖(乳)] 침뜸치료[鍼灸法]/젖 473
[제상(諸傷)] 맥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脈候及不治證] 473
[제상(諸傷)] 쥐한테 물린 것[鼠咬傷] 473
[소아(小兒)] 신전과 신함[?塡?陷] 473
[용약(用藥)] 보하는 것과 사하는 것이 겸(兼)해진 것[補瀉相兼] 474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제창(諸瘡)] 뜸치료[灸法] 474
[잡방(雜方)] 무술주(戊戌酒) 474
[부인(婦人)] 맥 보는 법[脈法] 474
[부인(婦人)] 임신부의 뱃속에서 종소리 같은 소리가 나는 것[孕婦腹中鍾鳴] 474
[머리(頭)] 숫구멍이 벌어지는 것[腦縫開裂] 475
[눈(眼)] 계관현육(鷄冠蜆肉) 475
[근(筋)] 수태음(手太陰)의 경근[手太陰之筋] 475
[근(筋)] 힘줄병 때 겉에 나타나는 증후[筋病外證] 475
[전음(前陰)] 음낭병 때 죽을 증상[陰囊病死候] 475
[괴질(怪疾)] 몸에 고양이눈 같이 생긴 헌데가 나는 것[身生猫眼瘡] 475
[소아(小兒)] 정해감(丁奚疳) 475
[탕액서례(湯液序例)]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475
[풀(草部)] 궁궁(芎?, 궁궁이) 미무(?蕪, 궁궁이싹) 476
[진맥(診脈)]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6가지 주되는 맥[天和六脈] 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