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水部)

냉천(冷泉, 맛이 떫은 찬 물을 말한다.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498 추천 수 0
◈ 冷泉 ○ 마시?고?믈俗謂之椒水主偏頭痛背寒火鬱惡寒等證浴之皆差 ○ 下有白礬故水味酸澁冷冽於七八月時浴之切不可夜浴必死[俗方]

☞ 냉천(冷泉, 맛이 떫은 찬 물을 말한다.)

○ 민간에서는 초수(椒水)라고 한다. 편두통 때나 등골이 싸늘한 때나 화가 속으로 몰리면서 오한이 나는 증[火蔚惡寒] 때 이 물에 목욕하면 곧 낫는다. ○ 물 밑에 백반이 있으면 물 맛이 시고 떫으면서 차다. 음력 7-8월에 이 물에 목욕해야 하는데 밤에는 하지 말아야 한다. 밤에 목욕하면 꼭 죽을 수 있다[속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삽예(澁翳) 472
[눈(眼)] 풍기와편(風起喎偏) 472
[입과 혀(口舌)] 입과 혀의 치수[口舌寸數] 472
[전음(前陰)] 도인법(導引法)/전음 472
[한(汗)] 땀을 천천히 내는 것과 빨리 내는 것[發汗緩急] 472
[옹저(癰疽)] 옹저 때 뜸뜨는 방법[癰疽灸法] 472
[제상(諸傷)] 참대꼬챙이에 찔린 것[簽刺傷] 472
[부인(婦人)] 임신부의 뱃속에서 태아가 우는 소리 같은 것이 나는 것[兒在腹中哭] 472
[곡식(穀部)] 백량미(白粱米) 472
[짐승(獸部)] 궤육(?肉, 효근노루) 472
[젖(乳)] 침뜸치료[鍼灸法]/젖 473
[제상(諸傷)] 맥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脈候及不治證] 473
[제상(諸傷)] 쥐한테 물린 것[鼠咬傷] 473
[소아(小兒)] 신전과 신함[?塡?陷] 473
[용약(用藥)] 보하는 것과 사하는 것이 겸(兼)해진 것[補瀉相兼] 474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제창(諸瘡)] 뜸치료[灸法] 474
[잡방(雜方)] 무술주(戊戌酒) 474
[부인(婦人)] 맥 보는 법[脈法] 474
[부인(婦人)] 임신부의 뱃속에서 종소리 같은 소리가 나는 것[孕婦腹中鍾鳴] 474
[머리(頭)] 숫구멍이 벌어지는 것[腦縫開裂] 475
[눈(眼)] 계관현육(鷄冠蜆肉) 475
[근(筋)] 수태음(手太陰)의 경근[手太陰之筋] 475
[근(筋)] 힘줄병 때 겉에 나타나는 증후[筋病外證] 475
[전음(前陰)] 음낭병 때 죽을 증상[陰囊病死候] 475
[괴질(怪疾)] 몸에 고양이눈 같이 생긴 헌데가 나는 것[身生猫眼瘡] 475
[소아(小兒)] 정해감(丁奚疳) 475
[탕액서례(湯液序例)]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475
[풀(草部)] 궁궁(芎?, 궁궁이) 미무(?蕪, 궁궁이싹) 476
[진맥(診脈)]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6가지 주되는 맥[天和六脈] 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