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638 추천 수 0
◎穀部 ○ 天地間養人性命者惟穀耳備土之德得氣中和故其味淡甘而性和平大補而?泄乃可久食而無厭是大有功於人者也[綱目] ○ 凡一百七種

☞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 자연계에서 사람의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것은 곡식이다. 이것은 흙의 기운을 받았기 때문에 치우치는 성질이 없이 고르고 맛이 슴슴하면서 달다[淡甘]. 그리고 성질이 평(平)하면서 고르며 보하는 것이 세고 배설이 잘 되기 때문에 오랫동안 먹어도 싫지 않다. 그러므로 사람에게 대단히 좋은 것이다[강목]. 모두 107가지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머리(頭)] 수풍증(首風證) 961
[한(寒)] 궐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厥陰形證用藥] 961
[입과 혀(口舌)] 혀에서 피가 나오는 것[舌?]/구설 962
[피부(皮)] 반진이 돋으려는 증후[發?候] 962
[채소(菜部)] 첨과(甛瓜, 참외) 과체(瓜蒂, 참외꼭지) 과자(瓜子, 참외씨) 엽(葉, 참외잎) 화(花, 참외꽃) 962
[눈(眼)] 예막(瞖膜) 963
[한(寒)] 소양병 때에 옆구리가 아픈 것[少陽病脇痛] 964
[제창(諸瘡)] 여러 가지 악창[諸般惡瘡] 964
[물(水部)] 장수(漿水, 신좁쌀죽의 윗물을 말한다.) 965
[가슴(胸)] 비(?)는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宜吐下] 966
[기침(咳嗽)] 오랜 천식[久喘] 968
[기(氣)] 기가 생기는[生氣] 근원[生氣之原] 969
[풍(風)] 담연이 몹시 성한 것[痰涎壅盛] 969
[한(寒)] 소양증을 반표반리증이라고 한다[少陽證爲半表半裏] 970
[한(寒)] 상한 때에는 얼굴, 눈, 혀의 빛깔을 보아야 한다[傷寒看面目舌色] 972
[혈(血)] 혈한(血汗)/혈 973
[코(鼻)] 콧물이 나오는 것[鼻涕] 973
[허리(腰)] 신착증(腎着證) 973
[신(神)] 5장은 7가지 신을 간직한다[五藏藏七神] 97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974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의 원인[?膈反胃病因] 975
[구급(救急)] 얼어죽은 사람을 살리는 방법[救凍死] 975
[소아(小兒)] 여러 가지 열[諸熱] 975
[배(腹)] 열로 배가 아픈 것[熱腹痛] 976
[목소리(聲音)] 목소리[聲音]는 신(腎)에서 나온다는 것[聲音出於腎] 978
[포(胞)] 5가지 빛깔의 이슬[五色帶下] 979
[젖(乳)] 젖을 나오게 하는 것[下乳汁] 980
[한(寒)] 외감에 내상을 겸한 증[外感挾內傷證] 980
[학질(?疾)] 학질이 발작하지 못하도록 세게 치료하는 방법[截?法] 980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방법[心胃痛治法] 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