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904 추천 수 0
◈ 大豆黃卷 ○ 콩기룸性平味甘無毒主久風濕痺筋攣膝痛除五藏胃中結聚[本草] ○ 黃卷是以生豆爲蘗待其芽出便暴乾取用入藥微炒[本草] ○ 卷蘗長五分者破婦人惡血産婦藥中用之[本草]

☞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오랜 풍습비(風濕痺)로 힘줄이 당기고 무릎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5장이나 위 속에 몰린 적취[五藏胃中結聚]를 없앤다[본초]. ○ 대두황권은 생콩으로 기른 길금(蘖待)을 말하는데 길금싹을 햇볕에 말린 다음 약간 볶아서[微炒] 약에 넣는다[본초]. ○ 길이가 5푼 정도 되는 콩길금은 부인의 어혈을 헤치는데 산모의 약에 넣어 쓴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창만(脹滿)] 혈창(血脹) 치료법 906
[목구멍(咽喉)] 가래를 끌어 올리는데 아주 빠른 방법[引痰眞捷法] 905
[목구멍(咽喉)] 전후풍(纏喉風) 904
[풍(風)] 편고(偏枯) 904
[옹저(癰疽)] 신옹(腎癰) 904
[곡식(穀部)]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904
[옆구리(脇)] 협통에는 5가지가 있다[脇痛有五] 903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생기는 번갈[?亂後煩渴] 903
[기침(咳嗽)] 폐위증(肺?證) 903
[기(氣)] 침뜸치료[鍼灸法]/기 902
[배(腹)] 용수증(涌水證) 902
[화(火)] 피를 많이 흘리면 오한이 나고 열이 난다[亡血致惡寒發熱] 902
[입과 혀(口舌)] 혀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것[舌長舌短] 901
[한(寒)] 양극사음(陽極似陰) 901
[혈(血)] 검은 약[黑藥]은 피를 멎게 한다[黑藥止血] 900
[언어(言語)] 말소리가 약한 것[言微] 900
[옆구리(脇)] 식적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食積脇痛] 900
[허로(虛勞)] 5로증(五勞證) 900
[풍(風)] 열은 풍을 생기게 한다[熱生風] 899
[꿈(夢)] 음사는 꿈을 꾸게 한다[淫邪發夢] 898
[짐승(獸部)] 단육(?肉, 오소리고기) 단지고(?脂膏) 898
[풀(草部)] 백출(白朮, 흰삽주) 창출(蒼朮, 삽주) 897
[옆구리(脇)] 풍한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風寒脇痛] 897
[곡식(穀部)] 서미(黍米, 기장쌀) 896
[위부(胃腑)] 단방(單方)/위부 894
[오줌(小便)] 교장증(交腸證) 894
[소아(小兒)] 급경풍(急驚風) 894
[담음(痰飮)] 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痰飮分淸濁] 893
[풀(草部)] 지부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892
[귀(耳)] 갑자기 귀가 먹은 것[卒聾] 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