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 밀기울)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423 추천 수 0
◈ ? ○ 밀기울性寒(一云凉)味甘無毒調中去熱治熱瘡湯火瘡爛撲損折傷瘀血[本草] ○ 麥屬陽?之性凉[丹心] ○ ?熱?凉[丹心]

(?, 밀기울)

○ 성질이 차고[寒] (서늘하다[凉]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중초를 조화시키고 열을 없앤다. 열창(熱瘡)과 끓는 물이나 불에 덴 상처[湯火瘡]가 진무른 것, 얻어 맞거나 러져서 어혈(瘀血)이 진 것을 치료한다[본초]. ○ 밀은 양(陽)에 속하지만 밀기울은 성질이 서늘하다[凉][단심]. ○ 밀가루는 성질이 덥고[熱] 밀기울은 성질이 서늘하다[凉][단심]. 
관련된 글
  1. 한의 상병명 해설 부인불잉(婦人不孕) by 웅이아빠
  2. 한의 상병명 해설 자종(子腫) by 웅이아빠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권백(卷栢, 처손) 567
[진액(津液)] 저절로 나는 땀[自汗] 2290
[진액(津液)] 망양증(亡陽證)/진액 1290
[오줌(小便)]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通] 1744
[오줌(小便)] 냉림(冷淋) 1023
[얼굴(面)] 얼굴에 생기는 잡병[面上雜病] 1585
[눈(眼)] 예(浮翳) 300
[가슴(胸)] 열심통(熱心痛) 1003
[가슴(胸)] 궐심통(厥心痛) 816
[후음(後陰)] 탈항(脫肛) 1904
[천지운기(天地運氣)] 6갑년(六甲年)은 돈(敦阜)의 해[六甲年敦阜之紀] 525
[한(寒)]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1089
[한(寒)] 상한음증(傷寒陰證) 1631
[한(寒)] 고랭(痼冷) 699
[습(濕)] 중습(中濕) 1146
[곽란(?亂)]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1230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1045
[기침(咳嗽)] 해역 때 치료하기 쉬운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咳逆易治難治證] 828
[창만(脹滿)] 겉에 붙이는 치료법[外敷法] 652
[황달(黃疸)] 음황(陰黃) 1229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옹저(癰疽)] 변옹(便癰) 773
[제창(諸瘡)] 천포창(天疱瘡) 1406
[부인(婦人)] 자림(子淋) 668
[부인(婦人)] 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1 1695
[소아(小兒)] 만경풍(慢驚風) 1509
[새(禽部)] 조(巧婦鳥, 뱁새) 326
[새(禽部)] 벽체고(??膏, 뜸기기름) 319
[채소(菜部)] 구채자( ?菜子, 추씨) 146
[금속[金部]] (鐵斧, 쇠도끼)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