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 밀기울)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423 추천 수 0
◈ ? ○ 밀기울性寒(一云凉)味甘無毒調中去熱治熱瘡湯火瘡爛撲損折傷瘀血[本草] ○ 麥屬陽?之性凉[丹心] ○ ?熱?凉[丹心]

(?, 밀기울)

○ 성질이 차고[寒] (서늘하다[凉]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중초를 조화시키고 열을 없앤다. 열창(熱瘡)과 끓는 물이나 불에 덴 상처[湯火瘡]가 진무른 것, 얻어 맞거나 러져서 어혈(瘀血)이 진 것을 치료한다[본초]. ○ 밀은 양(陽)에 속하지만 밀기울은 성질이 서늘하다[凉][단심]. ○ 밀가루는 성질이 덥고[熱] 밀기울은 성질이 서늘하다[凉][단심]. 
관련된 글
  1. 한의 상병명 해설 부인불잉(婦人不孕) by 웅이아빠
  2. 한의 상병명 해설 자종(子腫) by 웅이아빠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형(身形)] 신형장도 身形藏府圖 2 4479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
[부인(婦人)] 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1 1695
[풀(草部)] 수평(水萍) 평(浮萍, 개구리밥) 386
[풀(草部)] 근(白部根) 454
[포(胞)] 월경을 고르롭게 하는 치료법[調血治法] 1581
[포(胞)] 대하를 치료하는 방법[帶下治法] 1465
[머리(頭)] 궐역두통(厥逆頭痛) 1183
[머리(頭)] 담궐두통(痰厥頭痛) 1478
[머리(頭)]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883
[이빨(牙齒)] 찬 기운으로 이빨이 아픈 것[寒痛] 816
[이빨(牙齒)] 이빨에 바르고 문지르는 약[齒病塗擦方] 801
[허리(腰)] 습으로 허리가 아픈 것[濕腰痛] 1082
[전음(前陰)] 산증으로 아픈 것을 잘 멎게 하는 약[疝痛劫藥] 511
[풍(風)] 비증의 이름과 쓰는 약[痺證病名及用藥] 1091
[풍(風)]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1510
[한(寒)] 상한 때의 비기[傷寒?氣] 861
[한(寒)] 상한병에 맥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땀이 나려는 것이다[傷寒無脈爲欲汗] 766
[습(濕)]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1807
[조(燥)] 조병에는 혈을 보하는 것이 좋다[燥宜養血] 1352
[기침(咳嗽)] 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기침(咳嗽)] 식적수(食積嗽) 1250
[학질(?疾)] 해학(??) 1654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86
[제상(諸傷)] 미친개 독을 없애는 방법[狂犬傷出毒法] 553
[잡방(雜方)] 여러 가지 향처방 628
[곡식(穀部)] 소맥(浮小麥, 밀쭉정이) 477
[곡식(穀部)] 소맥노(小麥奴, 밀깜기) 392
[풀(草部)] 사간(射干, 범채) 28
[풀(草部)] 자(白附子, 노랑돌쩌귀)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