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소맥노(小麥奴, 밀깜기)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392 추천 수 0
◈ 小麥奴 ○ 밀감보기主熱煩解天行熱毒[本草] ○ 卽小麥苗上黑黴也[本草] ○ 小麥未熟時叢中不成麥捻之成黑勃者是也[綱目]

☞ 소맥노(小麥奴, 밀깜기)

○ 열이 나면서 답답한 것[熱煩]과 돌림열독[天行熱毒]을 푼다[본초]. ○ 즉 밀이삭(小麥苗) 위에 생긴 검은 것[黑黴]을 말한다[본초]. ○ 밀이 익지 않았을 때 포기 가운데 이삭이 여물지 못하고 새까맣게 된 것인데 쥐어 보면 푸실푸실하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포황(蒲黃, 들꽃가루) 향포(香蒲) 467
[풀(草部)] 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892
[풀(草部)] 수평(水萍) 평(浮萍, 개구리밥) 386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6
[포(胞)]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1308
[포(胞)] 월경을 고르롭게 하는 치료법[調血治法] 1581
[대변(大便)] 한설(寒泄) 1127
[머리(頭)] 담훈(痰暈) 1431
[머리(頭)] 궐역두통(厥逆頭痛) 1183
[눈(眼)] 옥예만(玉瞖浮滿) 389
[입과 혀(口舌)] 입 안과 혀가 허는데 뿌리는 약[口舌瘡?付藥] 650
[이빨(牙齒)] 찬 기운으로 이빨이 아픈 것[寒痛] 816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플 때 세게 억누르는 약[心胃痛劫藥] 821
[배(腹)] 배 아픈 위가 다르다[腹痛有部分] 2285
[천지운기(天地運氣)] 사해년[巳亥之歲] 402
[풍(風)]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手足??] 952
[한(寒)]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1449
[한(寒)] 상한음독(傷寒陰毒) 704
[습(濕)] 풍습(風濕) 1278
[습(濕)] 한습(寒濕) 2013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구토(嘔吐)] 구토, 열격, 반위 때에는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嘔吐?膈反胃宜通大便] 1092
[학질(?疾)] 한학(寒?) 843
[학질(?疾)] 담학(痰?) 944
[제창(諸瘡)] 개선(疥癬, 옴과 버짐) 1460
[제창(諸瘡)] 동상[凍瘡] 689
[소아(小兒)] 만비풍(慢脾風) 701
[곡식(穀部)] (?, 밀기울) 423
[풀(草部)] 사초근(莎草根, 향자) 114
[풀(草部)] 자(附子)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