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소맥노(小麥奴, 밀깜기)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392 추천 수 0
◈ 小麥奴 ○ 밀감보기主熱煩解天行熱毒[本草] ○ 卽小麥苗上黑黴也[本草] ○ 小麥未熟時叢中不成麥捻之成黑勃者是也[綱目]

☞ 소맥노(小麥奴, 밀깜기)

○ 열이 나면서 답답한 것[熱煩]과 돌림열독[天行熱毒]을 푼다[본초]. ○ 즉 밀이삭(小麥苗) 위에 생긴 검은 것[黑黴]을 말한다[본초]. ○ 밀이 익지 않았을 때 포기 가운데 이삭이 여물지 못하고 새까맣게 된 것인데 쥐어 보면 푸실푸실하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구토(嘔吐)] 구토, 열격, 반위 때에는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嘔吐?膈反胃宜通大便] 1092
[기침(咳嗽)] 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기침(咳嗽)] 식적수(食積嗽) 1250
[기침(咳嗽)] 해역을 치료하는 방법[咳逆治法] 1082
[기침(咳嗽)] 해역 때 치료하기 쉬운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咳逆易治難治證] 828
[창만(脹滿)] 겉에 붙이는 치료법[外敷法] 652
[황달(黃疸)] 음황(陰黃) 1229
[학질(?疾)] 한학(寒?) 843
[학질(?疾)] 담학(痰?) 944
[학질(?疾)] 해학(??) 1654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85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3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옹저(癰疽)] 변옹(便癰) 773
[제창(諸瘡)] 천포창(天疱瘡) 1406
[제창(諸瘡)] 개선(疥癬, 옴과 버짐) 1460
[제창(諸瘡)] 동상[凍瘡] 689
[제상(諸傷)] 미친개 독을 없애는 방법[狂犬傷出毒法] 553
[잡방(雜方)] 여러 가지 향처방 628
[부인(婦人)]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4058
[부인(婦人)] 자림(子淋) 668
[부인(婦人)] 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1 1695
[소아(小兒)] 만경풍(慢驚風) 1509
[소아(小兒)] 만비풍(慢脾風) 701
[곡식(穀部)] (?, 밀기울) 423
[곡식(穀部)] 소맥(浮小麥, 밀쭉정이) 477
[곡식(穀部)] 소맥노(小麥奴, 밀깜기) 392
[곡식(穀部)] (豆腐) 564
[새(禽部)] 조(巧婦鳥, 뱁새)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