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대맥(大麥, 보리)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854 추천 수 0
◈ 大麥 ○ 보리?性溫(一云微寒)味?無毒益氣調中止泄補虛實五藏久食令人肥健滑澤[本草] ○ 令人多熱爲五穀長[本草] ○ 久食頭髮不白不動風氣暴食稍似脚弱爲下氣故也熟則益人帶生則冷損人[本草] ○ 大麥同小麥以秋種者爲良春種者氣不足故力劣[本草] ○ 和鍼砂沒石子染鬚甚黑[入門]

☞ 대맥(大麥, 보리)

○ 성질이 따뜻하다[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고[?] 독이 없다. 기를 돕고[益氣] 중초를 조화시키며[調中] 설사를 멎게 하고 허한 것을 보한다. 또는 5장을 든든하게 하는데 오랫동안 먹으면 살이 찌고 건강해지며 몸이 윤택해진다[본초]. ○ 몸을 덥히는 데[多熱]는 5곡 가운데서 제일이다[본초]. ○ 오랫동안 먹으면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고 풍(風)이 동(動)하지 않는다. 그러나 갑자기 많이 먹으면 다리가 약간 약해지는데 그것은 기를 내리기 때문이다. 잘 익혀 먹으면 사람에게 이롭지만 약간 설어도 성질이 차지므로[寒] 사람을 상하게 한다[본초]. ○ 보리는 밀과 같이 가을에 심은 것이 좋다. 봄에 심은 것은 약 기운이 부족하기 때문에 효과가 적다[본초]. ○ 침사(鍼砂), 몰석자(沒石子)와 함께 넣어서 달인 물로 수염에 물들이면 아주 거멓게 된다[입문]. 
관련된 글
  1. 경혈사전 대맥(帶脈, 2개 혈)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심병(審病)] 7진 때의 죽을 수 있는 증상[七診死候] 466
[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466
[짐승(獸部)] 약으로 쓰는 짐승[獸部] 466
[벌레(蟲部)] 섬여(蟾?, 두꺼비) 466
[벌레(蟲部)] 복사담(?蛇膽, 살모사쓸개) 466
[풀(草部)] 사이(?耳, 도꼬마리) 사이실(?耳實, 도꼬마리열매) 465
[용약(用藥)] 약 쓰는 요령[用藥凡例] 465
[풍(風)] 파상풍의 증상[破傷風形證] 465
[인부(人部)] 구중연급타(口中涎及唾, 침) 465
[풀(草部)] 진교(秦?) 464
[눈(眼)] 검생풍속(瞼生風粟) 464
[사수(邪崇)] 도인법(導引法) 464
[제상(諸傷)] 사람에게 물려서 상한 것[人咬傷] 464
[잡방(雜方)] 전약을 만드는 방법[造煎藥法] 464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탕액서례(湯液序例)]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464
[곡식(穀部)] 완두(豌豆) 464
[풀(草部)] 패모(貝母) 463
[침구(針灸)]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463
[천지운기(天地運氣)] 기후의 차이[氣候差異] 463
[옹저(癰疽)] 옹저가 경하고 중한 것과 얕고 깊은 것을 구분하는 것[癰疽輕重淺深之辨] 463
[소아(小兒)] 갓난아이를 목욕시키는 방법[初生洗浴法] 463
[흙(土部)] 도중열진토 463
[벌레(蟲部)] 백화사(白花蛇) 463
[눈(眼)] 맥 보는 법[脈法]/눈 462
[진맥(診脈)] 맥이 끊어져서 나타나지 않은 것[脈絶不見] 462
[한(寒)] 설사시킨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다시 설사시켜야 한다[下後熱不退宜再下] 462
[소아(小兒)] 경풍에 먼저 나타나는 증[驚風先見之證] 462
[흙(土部)] 당묵(?墨, 가마밑 검댕) 462
[잡방(雜方)] 6가지 천기를 마시는 방법[服六天氣法]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