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녹두(菉豆)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560 추천 수 0
◈ 菉豆 ○ 녹두性寒(一云平一云冷)味甘無毒主一切丹毒煩熱風疹藥石發動壓熱消腫下氣止消渴[本草] ○ 和五藏安精神行十二經?此最爲良[本草] ○ 作枕明目治頭風頭痛[本草] ○ 若欲去病須勿去皮盖皮寒肉平爾[食物] ○ 色綠圓小者佳入藥須帶皮用去皮則少有壅氣[入門]

☞ 녹두(菉豆)

○ 성질이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하고 싸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일체 단독(丹毒), 번열, 풍진(風疹)과 광물성 약 기운이 동(動)한 것을 치료하는데 열을 내리고 부은 것을 삭히며 기를 내리고 소갈증을 멎게 한다[본초]. ○ 5장을 고르게 하고[和五臟] 정신을 편안하게 하며 12경맥을 잘 돌게 하는 데는 제일 좋다[본초]. ○ 이것으로 베개를 만들어 베면 눈이 밝아지고[明目] 두풍(頭風), 두통이 낫는다[본초]. ○ 병을 치료하는 데 쓸 때에는 껍질을 버리지 말아야 한다. 대체로 껍질은 성질이 차고[寒] 살은 성질이 평(平)하다[식물]. ○ 알은 빛이 퍼렇고 둥글면서 잔 것[色綠圓小者]이 좋다. 약으로 쓸 때에는 껍질을 버리지 않고 써야 한다. 껍질을 버리고 쓰면 기를 약간 막히게 한다[입문]. 

◈ 粉 ○ 슈비?녹둣??性冷(一云平)味甘無毒主益氣除熱毒療發背癰疽瘡癤解酒食毒[日用] ○ 取豆浸水磨濾過澄淸?乾爲粉用之卽菉豆粉也[日用]

☞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 성질이 차고[冷](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기를 보하고[益氣] 열독을 없애는데 발배(發背)와 옹저(癰疽), 창절(瘡癤)을 치료하며 술독, 식중독을 푼다[일용]. ○ 녹두를 물에 담갔다가 갈아서 걸러 가라앉힌 다음 윗물을 치워버리고 말려서 가루를 내어 쓴다. 이것이 녹두가루이다[일용].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방정리 녹두(菉豆)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79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609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소아(小兒)] 방예하는 법[禳法] 614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소아(小兒)] 음성[聲音] 451
[소아(小兒)]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523
[소아(小兒)]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999
[소아(小兒)] 경휵(驚?) 601
[소아(小兒)] 구토(嘔吐) 595
[소아(小兒)] 설사(泄瀉) 547
[소아(小兒)] 담천(痰喘) 714
[소아(小兒)] 번갈(煩渴) 706
[소아(小兒)]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376
[소아(小兒)]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403
[소아(小兒)] 가렵고 아픈 것[痒痛] 767
[소아(小兒)] 반란(斑爛) 485
[소아(小兒)] 추워서 떠는 것[寒戰] 476
[소아(小兒)] 이를 가는 것[咬牙] 570
[소아(小兒)] 피를 많이 흘리는 것[失血] 553
[소아(小兒)]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尿澁] 623
[소아(小兒)] 변비(便秘) 648
[소아(小兒)] 도엽(倒?) 548
[소아(小兒)] 흑함(黑陷) 704
[소아(小兒)]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