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녹두(菉豆)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560 추천 수 0
◈ 菉豆 ○ 녹두性寒(一云平一云冷)味甘無毒主一切丹毒煩熱風疹藥石發動壓熱消腫下氣止消渴[本草] ○ 和五藏安精神行十二經?此最爲良[本草] ○ 作枕明目治頭風頭痛[本草] ○ 若欲去病須勿去皮盖皮寒肉平爾[食物] ○ 色綠圓小者佳入藥須帶皮用去皮則少有壅氣[入門]

☞ 녹두(菉豆)

○ 성질이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하고 싸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일체 단독(丹毒), 번열, 풍진(風疹)과 광물성 약 기운이 동(動)한 것을 치료하는데 열을 내리고 부은 것을 삭히며 기를 내리고 소갈증을 멎게 한다[본초]. ○ 5장을 고르게 하고[和五臟] 정신을 편안하게 하며 12경맥을 잘 돌게 하는 데는 제일 좋다[본초]. ○ 이것으로 베개를 만들어 베면 눈이 밝아지고[明目] 두풍(頭風), 두통이 낫는다[본초]. ○ 병을 치료하는 데 쓸 때에는 껍질을 버리지 말아야 한다. 대체로 껍질은 성질이 차고[寒] 살은 성질이 평(平)하다[식물]. ○ 알은 빛이 퍼렇고 둥글면서 잔 것[色綠圓小者]이 좋다. 약으로 쓸 때에는 껍질을 버리지 않고 써야 한다. 껍질을 버리고 쓰면 기를 약간 막히게 한다[입문]. 

◈ 粉 ○ 슈비?녹둣??性冷(一云平)味甘無毒主益氣除熱毒療發背癰疽瘡癤解酒食毒[日用] ○ 取豆浸水磨濾過澄淸?乾爲粉用之卽菉豆粉也[日用]

☞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 성질이 차고[冷](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기를 보하고[益氣] 열독을 없애는데 발배(發背)와 옹저(癰疽), 창절(瘡癤)을 치료하며 술독, 식중독을 푼다[일용]. ○ 녹두를 물에 담갔다가 갈아서 걸러 가라앉힌 다음 윗물을 치워버리고 말려서 가루를 내어 쓴다. 이것이 녹두가루이다[일용].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방정리 녹두(菉豆)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황달(黃疸)]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不治證] 560
[소아(小兒)] 토하고 설사하는 증에 대한 이론[吐瀉論證] 560
[곡식(穀部)] 두황(豆黃, 콩가루) 560
[곡식(穀部)] 녹두(菉豆)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560
[젖(乳)] 몸풀기 전에 젖이 나오는 것[産前乳出] 559
[내상(內傷)] 내상 때 조리하는 법[內傷將理法] 559
[부종(浮腫)] 맥 보는 법[脈法] 559
[곡식(穀部)] 출촉(??, 수수) 559
[물고기(魚部)] 황상어(黃?魚) 559
[침구(針灸)] 족궐음간경의 순행[足厥陰肝經流注] 558
[배꼽(臍)] 배꼽을 덥게 하는 것이 좋다[臍宜溫煖] 558
[풍(風)] 맥 보는 법[脈法] 558
[한(汗)] 땀을 자주 내면 수명이 짧아진다[促汗夭壽] 557
[황달(黃疸)] 맥 보는 법[脈法] 557
[해독(解毒)] 뜸치료[灸法] 557
[부인(婦人)] 자학(子?) 557
[곡식(穀部)]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557
[화(火)] 단방(單方) 556
[곡식(穀部)]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556
[배(腹)] 여러 가지 배아픈 증[腹痛諸證] 555
[전음(前陰)] 호산(狐疝) 555
[토[吐]] 도창법을 쓸 때에는 반드시 답답하고 괴로운 것을 참아야 한다[倒倉順忍煩惱] 555
[한(汗)] 땀을 내야 할 증[可汗證] 555
[부인(婦人)] 임신부에게서 나타난 상태와 빛깔로 태아의 생사를 가리는 법[察色驗胎生死] 555
[목(頸項)] 침뜸치료[鍼灸法]/목 554
[배꼽(臍)] 배꼽을 덥게 해 주기 위해서 배를 싸매 주는 방법[溫臍兜?方] 554
[살(肉)] 육위증(肉?證) 554
[손(手)] 팔의 부위별 치수[手部度數] 554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이 의존하는 것[天地依附] 554
[구급(救急)] 10가지 위급한 병[十件危病] 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