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시(?, 약전)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369 추천 수 0
◈ ? ○ 약젼性寒味苦(一云?一云甘)無毒主傷寒頭痛寒熱?氣發汗通關節[本草] ○ 治中毒藥蠱氣?疾[本草] ○ 又殺六畜胎子諸毒[本草] ○ 去心中懊?宜生用之[湯液] ○ 和蔥白服發汗最速[本草] ○ 得?良[本草] ○ 造法(見雜方)

☞ 시(?, 약전)

○ 성질이 차고 맛이 쓰며(짜다고도 하고 달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상한으로 머리가 아프고 추웠다 열이 나는 것과 산람장기(?氣)를 치료하는데 땀이 나게 하며 뼈마디를 잘 놀릴 수 있게 한다[본초]. ○ 약중독, 고독, 학질을 치료한다[본초]. ○ 집짐승의 새끼를 먹고 생긴 여러 가지 중독을 푼다[본초]. ○ 가슴이 몹시 답답하고 괴로운 것을 없애려면 생것을 쓰는 것이 좋다[탕액]. ○ 파밑(총백)과 같이 달여서 먹으면 땀을 내는데 제일 빠르다[본초]. ○ 식초와 함께 쓰면 좋다[본초]. ○ 만드는 방법은 잡방에 씌어 있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허리(腰)] 접질려서 허리가 아픈 것[挫閃腰痛] 2 1503
[눈(眼)] 투침(偸鍼) 1 1425
[허리(腰)] 신허로 허리가 아픈 것[腎虛腰痛] 1 1960
[적취(積聚)] 6울이 적취, 징가, 현벽의 원인이다[六鬱爲積聚?癖之本] 1 1481
[적취(積聚)] 기울(氣鬱) 1 1165
[부인(婦人)] 과부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1 1695
[풀(草部)] 화(甘菊花, 단국화) 백국화(白菊花, 흰국화) 고의(苦意, 들국화) 1616
[대변(大便)] 습설(濕泄) 1161
[대변(大便)] 서설(暑泄) 1232
[대변(大便)] 비설(脾泄) 1152
[머리(頭)] 두풍증(頭風證) 2530
[머리(頭)] 담궐두통(痰厥頭痛) 1478
[눈(眼)] 외장(外障) 525
[눈(眼)] 간장적열(肝臟積熱) 718
[눈(眼)] 예막(瞖膜) 963
[귀(耳)] 귀가 가려운 것[耳痒] 1001
[머리털(毛髮)]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鬚髮黃落] 1445
[풍(風)] 중풍에는 중혈맥, 중부, 중장의 차이가 있다[風有中血脈中腑中臟之異] 1618
[내상(內傷)]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1996
[내상(內傷)] 탄산과 토산[呑酸吐酸] 1434
[적취(積聚)] 주적(酒積) 1136
[적취(積聚)] 충적(蟲積) 1300
[옹저(癰疽)] 현옹(懸癰) 956
[해독(解毒)] 고독을 치료하는 방법[蠱毒治法] 908
[소아(小兒)] 열감(熱疳) 380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물(水部)] 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696
[곡식(穀部)] (麴, 누룩) 400
[곡식(穀部)] (神麴, 약누룩) 508
[곡식(穀部)] 시(?, 약전)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