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장(醬)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676 추천 수 0
◈ 醬 ○ 쟝性冷利味?酸無毒除熱止煩滿[本草] ○ 殺一切魚肉蔬菜?毒又殺百藥熱傷及火毒[本草] ○ 多以豆作小麥亦作醬不及豆肉醬魚醬皆呼爲?不入藥用[本草] ○ 醬將也將和五味以安五藏故聖人不得不食也以豆作陳久者良[入門]

☞ 장(醬)

○ 성질이 차고[冷] 맛이 짜면서[?] 시고[酸] 독이 없다. 열을 내리고 답답하고 그득한 것을 멎게 한다[본초]. ○ 여러 가지 생선, 채소, 버섯을 먹고 중독된 것을 푼다. 또한 여러 가지 약으로 생긴 열에 상하였거나[百藥熱傷] 불에 덴 독[火毒]을 없앤다[본초]. ○ 흔히 콩으로 만든다. 밀로도 만들기는 하나 콩으로 만든 것보다 못하다. 고기장이나 물고기장들을 젖국(?)이라고 하는데 약으로는 쓰지 못한다[본초]. ○ 간장은 가질 '장(將)'자의 뜻을 딴 것이다. 간장에 양념을 잘 배합하면 5장을 편안하게 하기 때문에 옛날부터 사람들이 먹지 않을 수 없었다. 장은 콩으로 만들고 오랫동안 묵은 것이 좋다[입문]. 
관련된 글
  1. 한의 상병명 해설 장조증(臟躁症) by 웅이아빠
  2. 한의 상병명 해설 장결병(藏結病) by 웅이아빠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79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609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소아(小兒)] 방예하는 법[禳法] 614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소아(小兒)] 음성[聲音] 451
[소아(小兒)]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523
[소아(小兒)]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999
[소아(小兒)] 경휵(驚?) 600
[소아(小兒)] 구토(嘔吐) 595
[소아(小兒)] 설사(泄瀉) 547
[소아(小兒)] 담천(痰喘) 714
[소아(小兒)] 번갈(煩渴) 706
[소아(小兒)]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376
[소아(小兒)]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403
[소아(小兒)] 가렵고 아픈 것[痒痛] 767
[소아(小兒)] 반란(斑爛) 485
[소아(小兒)] 추워서 떠는 것[寒戰] 476
[소아(小兒)] 이를 가는 것[咬牙] 570
[소아(小兒)] 피를 많이 흘리는 것[失血] 553
[소아(小兒)]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尿澁] 622
[소아(小兒)] 변비(便秘) 648
[소아(小兒)] 도엽(倒?) 548
[소아(小兒)] 흑함(黑陷) 704
[소아(小兒)]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