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이당(飴糖, 엿)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580 추천 수 0
◈ 飴糖 ○ 흑탕又云거믄엿性溫味甘主補虛乏益氣力潤五藏消痰止嗽[本草] ○ 飴糖又云膠飴是濕糖如厚蜜者[本草] ○ 以其色紫凝如琥珀色謂之膠飴色白而穀强者謂之?糖不入藥[湯液] ○ 飴卽軟糖也建中湯用之入脾[湯液] ○ 飴屬土成於火大發濕中之熱多食動脾風[丹心] ○ 諸米皆可作惟以?米作者入藥[本草]

☞ 이당(飴糖, 엿)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다[甘]. 허약한 것을 보하며 기력을 돕고 5장을 눅여 주며 담(痰)을 삭히고 기침을 멎게 한다[본초]. ○ 이당을 또한 교이(膠胎)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진한 꿀(厚蜜)과 같은 물엿을 말하는 것이다[본초]. ○ 자줏빛이 나는 것이 엉켜서 호박빛깔이 된 것을 교(膠)라고 한다. 빛이 희고 굳게 엉긴 것을 성당(?糖)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약으로 쓰지 않는다[탕액]. ○ 엿이라고 할 때에는 무른 엿을 말한다. 건중탕(建中湯)에 넣어 쓰는데 그 기운은 비장으로 들어간다[탕액]. ○ 엿은 토(土)에 속하는 것이지만 불로 고아 만들었기 때문에 습한 곳에서도 열이 몹시 생기게 한다. 그러므로 많이 먹으면 비풍(脾風)이 동(動)할 수 있다[단심]. ○ 여러 가지 쌀로 다 만들 수 있으나 오직 찹쌀로 만든 것만 약으로 쓴다[본초]. 
관련된 글
  1. 본초정리 이당(飴糖, 엿)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잡방(雜方)] 과실을 절이는 방법[淹藏果實法] 457
[풀(草部)] 백미(白薇) 458
[진맥(診脈)] 맥을 짚어 보는 데는 가볍게 눌러 보는 것과 힘주어 눌러 보는 것이 있다[診有輕重] 458
[용약(用藥)] 표와 본에 생긴 병에 약쓰는 선후차[標本用藥先後] 458
[한(寒)] 태음병 때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太陰病腹脹滿] 458
[옹저(癰疽)] 정저(?疽) 458
[해독(解毒)] 약쑥중독[艾毒] 458
[나무[木部]] 건칠(乾漆, 마른옻) 생칠(生漆, 생옻) 458
[침구(針灸)] 수소양삼초경의 순행[手少陽三焦經流注] 459
[입과 혀(口舌)]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목구멍과 혀가 허는 것[酒客喉舌生瘡] 459
[근(筋)] 수소음(手少陰)의 경근[手少陰之筋] 459
[용약(用藥)] 태양과 소음의 표병과 본병에 약을 다르게 쓴다[太陽少陰標本異藥] 459
[하(下)] 설사시켜야 할 증[宜下證] 459
[소아(小兒)] 5체에서는 머리가 제일이고 얼굴에는 오직 생기가 있어야 한다[五體以頭爲尊一面惟神可恃] 459
[새(禽部)] 노자시(盧?屎 가마우디) 459
[벌레(蟲部)] 석룡자(石龍子, 도마뱀) 459
[제상(諸傷)] 쇠붙이에 상하였을 때의 맥[金瘡脈候] 460
[물(水部)]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460
[잡방(雜方)] 6가지 천기를 마시는 방법[服六天氣法] 461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태독을 풀어 주는 법[初生解毒法] 461
[소아(小兒)] 목소리에는 가는 것과 탁한 것이 있고 울 때에도 눈물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聲有輕重啼有乾濕] 461
[소아(小兒)] 척감(脊疳) 461
[눈(眼)] 맥 보는 법[脈法]/눈 462
[진맥(診脈)] 맥이 끊어져서 나타나지 않은 것[脈絶不見] 462
[한(寒)] 설사시킨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다시 설사시켜야 한다[下後熱不退宜再下] 462
[소아(小兒)] 경풍에 먼저 나타나는 증[驚風先見之證] 462
[흙(土部)] 당묵(?墨, 가마밑 검댕) 462
[풀(草部)] 패모(貝母) 463
[침구(針灸)]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463
[천지운기(天地運氣)] 기후의 차이[氣候差異] 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