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부(人部)

난발(亂髮)

한닥터 2011.10.26 조회 수 507 추천 수 0
◈ 亂髮 ○ 절로?러딘머리털性微溫味苦主失血止鼻?療骨疽雜瘡[本草] ○ 消瘀血通關格利水道治五淋大小便不通亦治轉胞[本草] ○ 不拘新剪舊落或自己或無病人髮或童男胎髮?好?角水洗淨入罐內燒存性爲末用[入門] ○ 一名血餘灰或曰人中血燒灰須要略存性勿令絶過[本草]

☞ 난발(亂髮)

○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쓰다[苦]. 피를 흘리는 것[失血]을 주로 치료하는데 코피를 멎게 하고 골저(骨疽)와 여러 가지 헌데[雜瘡]를 낫게 한다[본초]. ○ 어혈(瘀血)을 삭히고 관격(關格)된 것을 통하게 하며 오줌이 잘 나가게 하고 5림(五淋)과 대소변이 나가지 않는 것을 낫게 한다. 또한 전포증(轉胞證)도 치료한다[본초]. ○ 갓잘라낸 머리털이나 떨어진 지 오랜 것도 다 모아서 쓴다. 그리고 자기의 머리털이나 병없는 다른 사람의 것이나 갓난 남자아이의 머리털을 물론하고 어느 것이나 다 주염열매를 달인 물(?角水)에 깨끗하게 씻어서 철판 위에 놓고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어 쓴다[입문]. ○ 일명 혈여회(血餘灰) 또는 인중혈회(人中血燒)라고도 한다. 약성이 남게 태워야지 지나치게 재가 되게 태워서는 안 된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방정리 난발(亂髮)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이빨(牙齒)] 이빨이 빠지는 것[牙齒脫落] 768
[이빨(牙齒)] 귀와 코를 막아 이빨이 아픈 것을 멎게 하는 처방[塞耳鼻止牙痛方] 766
[이빨(牙齒)] 이빨에 있는 벌레를 나오게 하고 죽이는 방법[出牙蟲殺蟲法] 1135
[이빨(牙齒)] 이빨에 생긴 감닉창[牙齒疳 瘡] 889
[이빨(牙齒)] 이빨이 누렇거나 거멓게 된 것[齒黃黑] 833
[이빨(牙齒)] 치옹을 삭게 하는 방법[消齒壅法] 803
[이빨(牙齒)] 이빨이 점차 자라는 것[牙齒漸長] 642
[이빨(牙齒)] 투치(鬪齒) 606
[이빨(牙齒)] 치뉵(齒?) 778
[이빨(牙齒)] 이빨을 가는 것[?齒] 642
[이빨(牙齒)] 아픈 이빨을 손을 대지 않고 빼는 방법[去痛齒不犯手方] 751
[이빨(牙齒)] 빠진 이빨을 다시 나오게 하는 방법[落齒重生方] 1015
[이빨(牙齒)] 신 것을 먹어서 이빨이 시큰거리는 것[食酸齒?] 561
[이빨(牙齒)] 이빨에 바르고 문지르는 약[齒病塗擦方] 801
[이빨(牙齒)] 잇병에 양치질하는 처방[齒病含漱方] 994
[이빨(牙齒)] 이빨을 튼튼하게 하는 수양법[修養固齒法] 769
[이빨(牙齒)] 이빨병 때 꺼릴 것[齒病禁忌] 399
[이빨(牙齒)] 이빨의 빛깔을 보고 병을 알아내는 것[視齒色占病] 425
[이빨(牙齒)] 단방(單方)/이빨 525
[이빨(牙齒)] 침뜸치료[鍼灸法]/이빨 611
[목구멍(咽喉)] 인과 후는 각기 다르다[咽與喉各異] 611
[목구멍(咽喉)] 인후와 회염과 설은 그 작용이 같지 않다[咽喉會厭與舌其用不同] 615
[목구멍(咽喉)] 인후의 크기[咽喉度數] 495
[목구멍(咽喉)] 맥 보는 법[脈法]/인후 512
[목구멍(咽喉)] 인후병은 다 화에 속한다[咽喉之病皆屬火] 696
[목구멍(咽喉)] 인후병의 종류[咽喉病名] 615
[목구멍(咽喉)] 단유아, 쌍유아, 후비[單乳蛾雙乳蛾喉痺] 815
[목구멍(咽喉)] 급후비(急喉痺) 917
[목구멍(咽喉)] 전후풍(纏喉風) 905
[목구멍(咽喉)]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2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