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부(人部)

난발(亂髮)

한닥터 2011.10.26 조회 수 507 추천 수 0
◈ 亂髮 ○ 절로?러딘머리털性微溫味苦主失血止鼻?療骨疽雜瘡[本草] ○ 消瘀血通關格利水道治五淋大小便不通亦治轉胞[本草] ○ 不拘新剪舊落或自己或無病人髮或童男胎髮?好?角水洗淨入罐內燒存性爲末用[入門] ○ 一名血餘灰或曰人中血燒灰須要略存性勿令絶過[本草]

☞ 난발(亂髮)

○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쓰다[苦]. 피를 흘리는 것[失血]을 주로 치료하는데 코피를 멎게 하고 골저(骨疽)와 여러 가지 헌데[雜瘡]를 낫게 한다[본초]. ○ 어혈(瘀血)을 삭히고 관격(關格)된 것을 통하게 하며 오줌이 잘 나가게 하고 5림(五淋)과 대소변이 나가지 않는 것을 낫게 한다. 또한 전포증(轉胞證)도 치료한다[본초]. ○ 갓잘라낸 머리털이나 떨어진 지 오랜 것도 다 모아서 쓴다. 그리고 자기의 머리털이나 병없는 다른 사람의 것이나 갓난 남자아이의 머리털을 물론하고 어느 것이나 다 주염열매를 달인 물(?角水)에 깨끗하게 씻어서 철판 위에 놓고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어 쓴다[입문]. ○ 일명 혈여회(血餘灰) 또는 인중혈회(人中血燒)라고도 한다. 약성이 남게 태워야지 지나치게 재가 되게 태워서는 안 된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방정리 난발(亂髮)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택곽(澤廓) 504
[눈(眼)] 눈알은 5장에 속한다[眼睛屬五臟] 586
[눈(眼)] 눈에는 내자와 외자가 있다[眼有內外?] 772
[눈(眼)] 모든 맥은 눈에 속한다[諸脈屬目] 522
[눈(眼)] 맥 보는 법[脈法]/눈 462
[눈(眼)] 눈은 간의 상태가 나타나는 구멍이다[目者肝之竅] 1034
[눈(眼)] 눈병에는 한증이 없다[眼病無寒] 624
[눈(眼)] 눈병은 화가 없이는 생기지 않는다[眼無火不病] 797
[눈(眼)] 눈병의 원인[眼病所因] 741
[눈(眼)] 내장(內障) 1515
[눈(眼)] 원예(圓翳) 704
[눈(眼)] 빙예(氷翳) 577
[눈(眼)] 활예(滑翳) 536
[눈(眼)] 삽예(澁翳) 472
[눈(眼)] 산예(散翳) 601
[눈(眼)] 횡개예(橫開翳) 397
[눈(眼)] 부예(浮翳) 300
[눈(眼)] 침예(沈瞖) 398
[눈(眼)] 언월예(偃月瞖) 311
[눈(眼)] 조화예(棗花瞖) 316
[눈(眼)] 황심예(黃心瞖) 426
[눈(眼)] 흑화예(黑花瞖) 361
[눈(眼)] 태환(胎患) 316
[눈(眼)] 오풍변(五風變) 320
[눈(眼)] 뇌두풍(雷頭風) 588
[눈(眼)] 경진(驚振) 321
[눈(眼)] 녹풍(綠風) 429
[눈(眼)] 오풍(烏風) 368
[눈(眼)] 흑풍(黑風) 327
[눈(眼)] 청풍(靑風)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