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禽部)

연시(燕屎, 제비똥) 호연란(胡燕卵) 호연육(胡燕肉) 월연시(越燕屎)

한닥터 2011.10.26 조회 수 803 추천 수 0
◈ 燕屎 ○ 명마긔?性平味辛有毒療?主蠱毒鬼?破五?利小便[本草] ○ 燕有兩種有胡有越紫胸輕小者是越燕져비不入藥用胸斑黑聲大者是胡燕명마기入藥[本草] ○ 燕肉不可食入水爲蛟龍所呑亦不宜殺之[本草]

☞ 연시(燕屎, 제비똥)

○ 성질이 평(平)하며 맛은 맵고[辛] 독이 있다. 학질을 치료한다. 고독(蠱毒), 귀주(鬼?)에도 쓴다. 5륭(五?)을 낫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본초]. ○ 제비에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즉 명마기와 제비이다. 가슴이 자줏빛이고 가벼우며 작은 것이 제비(越燕)인데 이것은 약으로 쓰지 못한다. 가슴에 검은 반점이 있고 새소리가 큰 것이 명마기(胡燕)인데 이것을 약으로 쓴다[본초]. ○ 명마기 고기는 먹지 못한다. 이것을 먹고 물에 들어가면 교룡(蛟龍)에게 물린다. 또한 죽이는 것도 좋지 않다[본초]. 

◈ 胡燕卵 ○ 主水浮腫[本草]
☞ 호연란(胡燕卵) ○ 수종(水腫)과 부종(浮腫)을 치료한다[본초]. 

◈ 胡燕肉 ○ 出痔?[本草]
☞ 호연육(胡燕肉) ○ 치질에 붙이면 벌레[痔蟲]가 나온다[본초]. 

◈ 越燕屎 ○ 亦療痔殺?去目?[本草]
☞ 월연시(越燕屎) ○ 치질을 낫게 하고 벌레[蟲]를 죽인다. 눈병[目?]도 치료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面上形證歌] 444
[나무[木部]] 황벽(黃蘗, 황백) 황벽근(黃蘗根, 황경피나무뿌리) 444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눈(眼)] 소아통정(小兒通睛) 445
[잡방(雜方)] 몸이 보이지 않게 하는 방법[隱形法] 445
[채소(菜部)] 가자(茄子, 가지) 445
[채소(菜部)] 용규(龍葵) 용규자(龍葵子) 445
[눈(眼)] 적막하수(赤膜下垂) 446
[옹저(癰疽)] 옹저 때 침을 놓는 방법[癰疽鍼法] 446
[침구(針灸)] 수궐음심포경의 순행[手厥陰心包經流注] 447
[맥(脈)] 5장(五臟)의 맥(脈) 447
[전음(前陰)] 음식창과 하감창[陰蝕瘡下疳瘡] 447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 때 태우면서 냄새를 맡는 약[喘嗽熏藥] 447
[기침(咳嗽)] 재채기를 하게 하는 방법[取?法] 447
[눈(眼)] 동자생예(撞刺生瞖) 448
[살(肉)] 뜸치료[灸法]/육 448
[골(骨)] 뼈는 골수가 모이는 곳이다[骨爲髓府] 448
[변증(辨證)] 장부병이 빨리 전해 가는 것[臟腑病急傳] 449
[변증(辨證)] 2시, 4이, 4기[二尸四異四奇] 449
[풍(風)] 비증 때의 맥[痺脈] 449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단방(單方) 449
[해독(解毒)] 광물성 약중독[石藥毒] 449
[입과 혀(口舌)] 혀가 끊어진 것을 잇는 방법[補舌斷方] 450
[근(筋)] 수양명(手陽明)의 경근[手陽明之筋] 450
[괴질(怪疾)] 몸이 뱀모양으로 붓는 것[身腫如蛇狀] 450
[잡방(雜方)] 의향(衣香) 450
[눈(眼)] 동인건결(瞳人乾缺) 451
[배꼽(臍)] 어린이의 배꼽이 헌것[小兒臍瘡] 451
[하(下)] 설사는 신중하게 시켜야 한다[下法宜愼]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