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禽部)

복익(伏翼, 박쥐)

한닥터 2011.10.26 조회 수 533 추천 수 0
◈ 伏翼 ○ ?쥐性平(一云微熱)味?無毒(一云有毒)主目暝痒痛明目夜視有光療五淋利水道一名??[本草] ○ 伏翼以其晝伏有翼爾[本草] ○ 在山谷及人家屋間立夏後採暴乾[本草] ○ 此物善服氣故能壽[本草] ○ 先拭去毛及腸?嘴脚灸乾用之[入門]

☞ 복익(伏翼, 박쥐)

○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열하다[微熱]고도 한다) 맛이 짜며[?]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눈이 어둡고 가려우면서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눈을 밝게 한다. 5림(五淋)을 낫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일명 편복(??)이라고도 한다[본초]. ○ 복익이라고 한 것은 낮에는 엎드려 있고 날개가 있다는 것이다[본초]. ○ 이것은 산골짜기나 지붕 사이에서 산다. 입하(立夏) 후에 잡아서 볕에 말려 쓴다[본초]. ○ 이것은 공기를 먹기[服氣] 때문에 오래 살 수 있다[본초]. ○ 쓰는 방법은 먼저 털을 없애버린 다음 내장과 주둥이와 다리를 떼버리고 구워서 말려[灸乾] 쓴다[입문]. 

◈ 糞 ○ 名夜明砂能明目治內外障又炒服治??[入門]
☞ 복익분(伏翼糞) ○ 야명사(夜明砂)라고도 하는데 눈을 밝게 하고 내장과 외장[內外障]을 치료한다. 또한 볶아 먹으면 나력(??)이 낫는다[입문]. 

◈ 天鼠 ○ 셕죵유나?굴에이??쥐一名仙鼠卽伏翼也在乳石洞中食其精汁色白大如鳩鵲壽皆千歲此仙經所謂肉芝也食之令人肥健長年今??多生古屋中其色白而大者盖稀有料其出乳石洞中者如此爾[本草] ○ 在洞中皆倒懸盖其腦重故也[本草]
☞ 천서(天鼠) ○ 일명 선서(仙鼠)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바로 박쥐이다. 석종유가 있는 굴[乳石洞] 속에서 살면서 그 정기를 빨아 먹는다. 빛이 흰데 큰 비둘기나 까치같이 생겼다. 천년 동안 산다. 이것이 『선경(仙經)』에 씌어 있는 육지(肉芝)인데 먹으면 살찌고 건강해져서 오래 살 수 있다. 지금 보통 박쥐는 흔히 오래된 집에서 사는데 빛이 희면서 큰 것은 대체로 드물다. 석종유가 있는 굴 속에 사는 것이라야 희고 크다[본초]. ○ 굴 속에 거꾸로 매달려 사는데 그것은 대가리가 무겁기 때문이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방정리 편복(??, 박쥐)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466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728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痘後諸疾] 35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47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489
[소아(小兒)]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523
[소아(小兒)] 반과 진을 덧붙임[附?疹] 679
[소아(小兒)] 단방(單方) 490
[소아(小兒)] 침뜸치료[鍼灸法] 703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채취하는 방법[採藥法] 54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540
[탕액서례(湯液序例)]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550
[탕액서례(湯液序例)] 오랫동안 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499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974
[탕액서례(湯液序例)]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536
[탕액서례(湯液序例)]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861
[탕액서례(湯液序例)] 7방(七方) 746
[탕액서례(湯液序例)] 12제(十二劑)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근, 량, 되, 말[斤兩升斗] 63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달이는 방법[煮藥法] 51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488
[탕액서례(湯液序例)]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595
[탕액서례(湯液序例)]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464
[탕액서례(湯液序例)]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415
[탕액서례(湯液序例)]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476
[탕액서례(湯液序例)]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547
[탕액서례(湯液序例)]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492
[탕액서례(湯液序例)]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