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禽部)

응시백(鷹屎白, 매똥)

한닥터 2011.10.26 조회 수 616 추천 수 0
◈ 鷹屎白 ○ 매?性平(一云微寒)有小毒主滅瘢痕合??衣魚之類爲膏塗之[本草] ○ 主惡酒[本草] ○ ?亦相似而小盖是其類[本草]

☞ 응시백(鷹屎白, 매똥)

○ 성질이 평(平)하고(차다[寒]고도 한다) 독이 약간 있다. 흠집[瘢痕]을 없애는 데는 백강잠, 옷좀(衣魚) 같은 것과 섞어서 고약을 만들어 붙이는 것이 좋다[본초]. ○ 술과 상오(相惡)관계이다[본초]. ○ 새매도 역시 박쥐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좀 작은데 이것도 같은 종류이다[본초]. 

◈ 眼睛 ○ 和乳汁硏點眼中三日見碧?中物[本草]
☞ 응안정(鷹眼睛) ○ 젖(乳汁)에 타서 눈에 넣으면 3일만에 하늘 높이 있는 것도 볼 수 있게 된다[본초]. 

◈ 頭 ○ 治五痔[本草]
☞ 응두(鷹頭) ○ 5가지 치질[五痔]을 치료한다[본초]. 

◈ 嘴及爪 ○ 主五痔及狐魅[本草]
☞ 응취/응조(鷹嘴及爪) ○ 5가지 치질과 호매(狐魅)를 치료한다[본초]. 

◈ 肉 ○ 主邪魅野狐魅[本草]
☞ 응육(鷹肉) ○ 헛것에 들린 데[邪魅]와 호매에 쓴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코(鼻)] 비사(鼻?) 1049
[코(鼻)] 얼굴과 코에 검은 자줏빛이 나는 것[面鼻紫黑] 757
[코(鼻)] 콧물이 나오는 것[鼻涕] 973
[코(鼻)] 재채기[鼻?] 720
[코(鼻)] 코의 빛깔을 보고 병을 알아내는 것[鼻色占病] 614
[코(鼻)] 수양하는 방법[修養法]/코 519
[코(鼻)] 단방(單方)/코 623
[코(鼻)] 침뜸치료[鍼灸法]/코 613
[입과 혀(口舌)] 입은 옥지라고도 한다[口曰玉池] 656
[입과 혀(口舌)] 혀는 심에 속한다[舌屬心] 786
[입과 혀(口舌)] 입술[口唇]은 비(脾)에 속한다[口唇屬脾] 705
[입과 혀(口舌)] 맥 보는 법[脈法]/입과 혀 563
[입과 혀(口舌)] 입과 혀[口舌]는 5가지[五味] 맛을 주관한다[口舌主五味] 721
[입과 혀(口舌)] 입맛이 신 것[口酸] 984
[입과 혀(口舌)] 입맛이 쓴 것[口苦] 1162
[입과 혀(口舌)] 입맛이 단것[口甘] 702
[입과 혀(口舌)] 입맛이 매운 것[口辛] 797
[입과 혀(口舌)] 입맛이 짠 것[口鹹] 1538
[입과 혀(口舌)]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口臭] 1489
[입과 혀(口舌)] 입 안이 헤진 것[口?] 1100
[입과 혀(口舌)] 허화로 입 안이 허는 것[虛火口瘡] 1035
[입과 혀(口舌)] 입술이 붓거나 허는 것[唇腫唇瘡] 1087
[입과 혀(口舌)] 견순(脣) 699
[입과 혀(口舌)] 혀가 부은 것[舌腫] 1520
[입과 혀(口舌)] 중설(重舌) 1003
[입과 혀(口舌)] 중설 때 문지르는 방법[重舌擦法] 515
[입과 혀(口舌)] 목설(木舌) 655
[입과 혀(口舌)] 혀에서 피가 나오는 것[舌?]/구설 962
[입과 혀(口舌)] 혀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것[舌長舌短] 901
[입과 혀(口舌)] 설태가 낀 것[舌上生胎] 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