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獸部)

우유(牛乳) 양유(羊乳) 마유(馬乳) 낙(酪, 타락) 수(?, 졸인 젖) 제호(醍?)

한닥터 2011.10.27 조회 수 1110 추천 수 0
◈ 牛乳 ○ 쇼ㅣ졋性微寒(一云冷)味甘無毒補虛羸止煩渴潤皮膚養心肺解熱毒[本草] ○ 凡服乳必煮一二沸停冷?之生飮令人痢熱食卽壅又不欲頓服欲得漸消[本草] ○ 乳及尿屎去病黑牛勝黃牛[本草] ○ 凡乳酪與酸物相反[本草]

☞ 우유(牛乳)

○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서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하고 여윈 것(虛羸)을 보하며 번갈(煩渴)을 멎게 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또한 심폐(心肺)를 보하고 열독(熱毒)을 푼다[본초]. ○ 우유를 먹을 때에는 반드시 1-2번 끓어 오르게 끓여 식혀서 마셔야 한다. 생것을 마시면 이질이 생기고 뜨겁게 하여 먹으면 곧 기가 막힌다. 또한 단숨에 먹지 말고 천천히 먹어야 한다[본초]. ○ 우유와 尿屎로 병을 치료하는 데는 검정소(黑牛)의 것을 쓰는 것이 누렁소(黃牛)의 것을 쓰는 것보다 낫다[본초]. ○ 젖(乳酪)은 신것[酸物]과는 상반된다[본초]. 

◈ 羊乳 ○ 性溫味甘無毒潤心肺止消渴[本草]

☞ 양유(羊乳)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심폐(心肺)를 눅여 주고 소갈을 멈춘다[본초]. 

◈ 馬乳 ○ 性冷味甘無毒止渴 ○ 驢乳性同冷利[本草]

☞ 마유(馬乳)

 ○ 성질이 서늘하고[冷] 맛이 달며[甘] 독이 없는데 갈증을 멎게 한다. ○ 나귀젖(驢乳)도 이것과 성질이 같은데 냉리(冷利)를 낫게 한다. 

◈ 酪 ○ 타락性寒(一云冷)味甘酸無毒止煩渴熱悶心膈熱痛[本草] ○ 療身面上熱瘡肌瘡[本草]

☞ 낙(酪, 타락)

 ○ 성질이 차고[寒](서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이 달면서[甘] 시고[酸] 독이 없다. 번갈증과 열이 나면서 답답한 것, 가슴이 열나면서 아픈 것[心膈熱痛]을 치료한다[본초]. ○ 몸과 얼굴에 생긴 열창(熱瘡)과 기창(肌瘡)을 치료한다[본초]. 

◈ ? ○ 수유性微寒(一云凉)味甘無毒益心肺止渴嗽潤毛髮除肺?心熱幷吐血補五藏利腸胃[本草] ○ ?揷酪作之其性猶異[本草] ○ ?酪醍?乳腐乃牛乳羊乳馬乳或各或合爲之四種中牛乳爲上羊乳次之馬乳又次之[入門]

☞ 수(?, 졸인 젖)

 ○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서늘하다[凉]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심폐(心肺)를 보하고 갈증과 기침을 멈추며 머리털을 윤기나게 하고 폐위(肺?), 심열, 피를 토하는 것[吐血]을 낫게 한다. 또한 5장을 보하고 장위(腸胃)를 좋게 한다[본초]. ○ 졸인 젖은 타락(酪)에서 건져서 만든 것이지만 성질은 다르다[본초]. ○ 수락(?酪), 제호(醍?), 유부(乳腐)는 소젖, 양젖, 말젖을 따로따로 혹은 섞어서 만든 것이다. 이 3가지 가운데서 소젖(牛乳)으로 만든 것이 제일이고 양의 젖으로 만든 것은 그 다음이며 말의 젖으로 만든 것은 그 다음이다[입문]. 

◈ 醍? ○ 性平味甘無毒治一切肺病咳嗽膿血皮膚瘙痒通潤骨髓明目補虛功優於?[本草] ○ 乳成酪酪成??成醍?[本草] ○ 醍?生?中?之精液也好?一石有三四升醍?熟?貯器中待凝穿中至底便津出得之性滑以物盛之皆透惟?子殼及葫蘆盛之不出[本草] ○ 在?中盛冬不凝盛夏不融者是也[本草] ○ 作酪時上一重凝者爲酪面酪面上其色如油者爲醍?熬之卽出不可多得極甘美惟潤養瘡痂最相宜[本草]

☞ 제호(醍?)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여러 가지 폐의 병으로 기침이 나고 피고름[膿血]을 뱉는 것과 피부가 가려운 것[皮膚痒]을 치료한다. 그리고 골수를 눅여 주고 눈을 밝게 하며 허한 것을 보하는 효과는 졸인 젖(?)보다 훨씬 낫다[본초]. ○ 젖으로 타락(酪)을 만들고 타락으로 졸인 젖(?)을 만들며 졸인 젖으로 제호(醍?)를 만든다[본초]. ○ 제호는 졸인 젖(?)에서 나온 것인데 졸인 젖의 정미로운 물(精液)이다. 좋은 졸인 젖 10말에서 3-4되의 제호가 나온다. 이것을 다 졸여서 그릇에 담아두면 엉킨다. 이때에 한가운데를 그릇 밑창까지 닿도록 찌르면 진이 나와서 맺힌다. 성질이 미끄럽기 때문에 그릇에 담아두면 다 스며나간다. 오직 달걀 껍질이나 바가지에 담아두어야 스며 나오지 못한다[본초]. ○ 젖 졸인 것(?)을 담아두어 보아 겨울에는 엉키지 않고 여름에는 녹지 않는 것이 제호이다[본초]. ○ 타락(酪)을 만들 때 위에 한꺼풀 엉키는 것이 낙면(酪面)이고 낙면 위에 기름빛 같은 것이 나는 것이 제호인데 졸이면 곧 나온다. 그러나 많이 나오지는 않는데 맛이 아주 달다. 헌데 딱지를 축여 주는 데는 이것이 제일 좋다[본초]. 
관련된 글
  1. 한의 상병명 해설 해수(咳嗽) by 웅이아빠
  2. 한의 상병명 해설 자음(子?) by 웅이아빠
  3. 한의 상병명 해설 자수(子嗽) by 웅이아빠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백동과(白冬瓜, 동아) 백동과자(白冬瓜子, 동아씨) 백동과등(白冬瓜藤, 동아덩굴) 백동과엽(白冬瓜葉, 동아잎) 707
[채소(菜部)] 호과(胡瓜, 오이) 호과엽(胡瓜葉, 오이잎) 호과근(胡瓜根, 오이뿌리) 719
[채소(菜部)] 사과(絲瓜, 수세미) 854
[채소(菜部)] 개채(芥菜, 겨자와 갓) 788
[채소(菜部)] 와거(??, 상추) 830
[채소(菜部)] 고거(苦?) 467
[채소(菜部)] 고채(苦菜, 씀바귀) 601
[채소(菜部)] 제채(薺菜, 냉이) 제채자(薺菜子, 냉이씨) 제채근(薺菜根, 냉이뿌리) 686
[채소(菜部)] 사삼(沙參, 더덕) 783
[채소(菜部)] 제니(薺?) 503
[채소(菜部)] 길경(桔梗, 도라지) 1154
[채소(菜部)] 총백(蔥白, 파밑) 총실(蔥實, 파씨) 총근(蔥根, 파뿌리) 총엽(蔥葉, 파잎) 총화(蔥花, 파꽃) 호총(胡蔥) 762
[채소(菜部)] 대산(大蒜, 마늘) 2000
[채소(菜部)] 구채(?菜, 부추) 844
[채소(菜部)] 해채(?菜, 염교) 1091
[채소(菜部)] 형개(荊芥) 587
[채소(菜部)] 자소(紫蘇, 차조기) 자소자(紫蘇子, 차조기씨) 자소경(紫蘇莖, 차조기 줄기) 551
[채소(菜部)] 향유(香?, 노야기) 479
[채소(菜部)] 박하(薄荷) 784
[채소(菜部)] 가자(茄子, 가지) 445
[채소(菜部)] 수근(水芹, 미나리) 596
[채소(菜部)] 순채(蓴菜) 405
[채소(菜部)] 요실(蓼實, 여뀌씨) 요엽(蓼葉, 여뀌잎) 525
[채소(菜部)] 호유(胡?, 고수) 호유자(胡?子, 고수씨) 576
[채소(菜部)] 나륵(羅勒) 나륵자 492
[채소(菜部)] 임자(荏子, 들깨) 임자엽(荏子葉, 들깨잎) 725
[채소(菜部)] 용규(龍葵) 용규자(龍葵子) 445
[채소(菜部)] 궐채(蕨菜, 고사리) 572
[채소(菜部)] 목숙(??, 거여목) 617
[채소(菜部)] 양하(?荷)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