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獸部)

고양각(?羊角, 숫양의 뿔),고양두(?羊頭) 고양육(?羊肉)

한닥터 2011.10.27 조회 수 709 추천 수 0
◈ ?羊角 ○ 수양의?性溫(一云微寒)味?苦無毒主靑盲明目止驚悸殺鬼魅?虎狼療漏下惡血治風退熱[本草] ○ 卽牡羊角也靑?者佳取無時勿使中濕濕卽有毒[本草]

☞ 고양각(?羊角, 숫양의 뿔)

○ 성질이 따뜻하고[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고[?] 쓰며 독이 없다. 청맹(靑盲)을 치료하는데 눈이 밝아지게 한다.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驚悸]을 멎게 하며 헛것[鬼魅]에 들린 병을 낫게 하고 범과 승냥이가 물러가게 하고 자궁출혈과 궂은 피가 나오는 것을 낫게 한다. 그리고 풍증도 치료하는데 열을 내린다[본초]. ○ 이것이 바로 숫양의 뿔(牡羊角)인데 퍼런 숫양의 뿔이 좋다. 아무때나 잘라서 쓰는데 습기를 받지 않게 해야 한다. 습기를 받으면 독이 생긴다[본초]. 

◈ 頭 ○ 性凉(一云平)治骨蒸腦熱風眩癲疾補虛損安心止驚治小兒驚癎 ○ 熱病後宜食羊頭肉冷病人勿食[本草]

☞ 고양두(?羊頭)

 ○ 성질이 서늘하다[凉](평(平)하다고도 한다). 골증(骨蒸)과 뇌열(腦熱), 풍현(風眩)과 전간[癲疾]을 치료하는데 허손된 것을 보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놀라는 증을 멎게 한다. 어린이의 경간[小兒驚癎]도 치료한다. ○ 열병 후에 양의 대가리고기(羊頭肉)를 먹으면 좋다. 냉병(冷病)환자는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肉 ○ 性大熱(一云溫)味甘無毒治虛勞寒冷補中益氣安心止驚開胃肥健[本草] ○ 齒骨及五藏皆溫平而主疾惟肉性大熱熱病差後百日內食之復發熱?人食之令發熱困重皆致死[本草]

☞ 고양육(?羊肉)

 ○ 성질이 몹시 열하고[大熱]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로(虛勞)와 한랭증(寒冷證)을 치료하는데 중초를 보하고 기를 도와주며[補中益氣] 마음을 안정시키고 놀라는 증을 멎게 하며 음식맛이 나게 하고[開胃] 몸을 건강해지게 한다[본초]. ○ 숫양의 이빨과 뼈, 5장은 다 성질이 따뜻하고[溫] 평(平)하기 때문에 병을 낫게 할 수 있으나 고기는 성질이 몹시 열하기[大熱] 때문에 열병을 앓고 난 지 백일 이내에 먹으면 다시 열이 나게 된다. 학질을 앓을 때 먹으면 열이 나고 몹시 피곤해져서 죽을 수도 있다[본초]. 

◈ 肝 ○ 性冷療肝風目赤暗痛能明目[本草]

☞ 고양간(?羊肝) ○ 성질이 서늘하다[冷]. 간풍(肝風)과 눈이 붉어지고[目赤] 잘 보이지 않으면서 아픈 것[暗痺]을 치료하는데 잘 보이게 한다[본초]. 

◈ 膽 ○ 性平主靑盲明目點眼中主赤障白膜[本草] ○ 靑羊膽佳[本草]
☞ 고양담(?羊膽) ○ 성질이 평(平)하다. 청맹(靑盲)을 치료하는데 눈이 밝아지게 한다. 눈에 넣으면 적장(赤障)과 흰막[白膜]이 없어진다[본초]. ○ 퍼런 양(靑羊)의 담즙이 좋다[본초]. 

◈ 心 ○ 補心主憂?膈氣心有孔者殺人勿食[本草]
☞ 고양심(?羊心) ○ 심(心)을 보(補)하는데 몹시 근심하거나 성을 내서 기가 막힌 것[憂?膈氣]을 낫게 한다. 구멍이 뚫린 염통을 먹으면 죽을 수 있기 때문에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胃 ○ 主虛羸補胃虛損止尿數補氣[本草] ○ 卽?也
☞ 고양위(?羊胃) ○ 허하고 여윈 것[虛羸]을 낫게 하고 위(胃)가 허손(虛損)된 것을 보하며 오줌이 잦은 것을 멎게 하고 기(氣)를 보(補)한다[본초]. 

◈ 腎 ○ 補腎氣益精髓主虛損耳聾盜汗壯陽益胃止小便 ○ 羊五藏補人五藏[本草]
☞ 고양신(?羊腎) ○ 신기(腎氣)와 정수(精髓)를 보하고 허손된 것과 귀머거리[耳聾]와 식은땀[盜汗]이 나는 것을 낫게 하며 양기(陽氣)를 세지게 한다. 또한 위(胃)를 보하고 오줌이 자주 나오는 것을 멎게 한다[본초]. ○ 양의 5장은 사람의 5장을 보한다[본초]. 

◈ 髓 ○ 性溫味甘無毒利血?益經氣以酒服之[本草]
☞ 고양수(?羊髓)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는데 혈맥(血脈)을 좋게 하고 경맥의 기운[經氣]을 보한다. 술로 먹는다[본초]. 

◈ 脂 ○ 治遊風幷黑?[本草]
☞ 고양지(?羊脂) ○ 유풍(遊風)과 주근깨[黑?]를 치료한다[본초]. 

◈ 血 ○ 主産後血暈及中風血悶飮一升卽愈[本草]
☞ 고양혈(?羊血) ○ 산후혈훈(産後血暈), 중풍, 혈민(血悶)에 쓰는데 1되를 마시면 낫는다[본초]. 

◈ 骨 ○ 性熱主虛寒羸瘦有宿熱人勿食[本草]
☞ 고양골(?羊骨) ○ 성질이 열(熱)하다. 허한증(虛寒)과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본래부터 열이 있는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脊骨 ○ 治腎冷腰痛搗碎煮爛和蒜?或酒空心食[入門]
☞ 고양척골(?羊脊骨) ○ 신이 차서 허리가 아픈 것[腎冷腰痛]을 치료한다. 짓찧어 푹 삶아서 마늘양념을 하여 먹거나 빈속에 술로 먹는다[입문]. 

◈ 脛骨 ○ 治牙齒疎痛火?爲末入鹽每早擦牙上[入門]
☞ 고양경골(?羊脛骨) ○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불에 구워 가루내어 소금과 섞어 아침마다 이빨을 닦는다[입문]. 

◈ 齒 ○ 主小兒羊癎三月三日取之[本草]
☞ 고양치(?羊齒) ○ 어린이의 양간(羊癎)을 치료하는데 음력 3월에 뽑아 두었다가 쓴다[본초]. 

◈ 皮 ○ 補虛去諸風去毛作?食之[本草]
☞ 고양피(?羊皮) ○ 허(虛)한 것을 보(補)하고 모든 풍증을 없앤다. 털을 없애고 곰국을 끓여서 먹는다[본초]. 

◈ 屎 ○ 燒灰淋取汁沐頭令髮長黑又生髮 ○ 理?耳?竹木刺又主箭鏃不出[本草]
☞ 고양시(?羊屎) ○ 태워 가루내어 잿물을 밭아서 그 물에 머리를 감으며 머리털이 잘 자라고 검어진다. ○ 귀앓이[?耳]도 치료한다. 그리고 참대나 나무가시나 화살촉이 박혀서 나오지 않는 데도 쓴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방정리 고양각(?羊角, 수양의 뿔)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구급(救急)] 갑자기 죽는 것(卒死) 27816
[신장(腎臟)] 신병의 증상[腎病證] 19694
[포(胞)]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9094
[기침(咳嗽)] 한수(寒嗽) 6139
[피부(皮)] 마목(麻木) 5604
[포(胞)] 월경이 중단된 것[血閉] 5534
[신장(腎臟)] 신병의 허증과 실증[腎病虛實] 5526
[신형(身形)] 신기한 베개를 만드는 방법[神枕法] 4509
[꿈(夢)] 나쁜 꿈[惡夢]을 꾸지 않게 하는 방법[?惡夢] 4485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82
[화(火)]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4286
[신(神)] 침뜸치료[鍼灸法]/신 4261
[입과 혀(口舌)] 하품하다가 턱이 어긋난 것[失欠脫?] 4142
[부인(婦人)]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4061
[신형(身形)]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930
[가슴(胸)] 진심통(眞心痛) 3466
[용약(用藥)] 생리작용의 근원을 보하는 것[滋化源] 3286
[허로(虛勞)] 음이 허한 데 쓰는 약[陰虛用藥] 3133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옹저(癰疽)] 홍사정(紅絲?) 3058
[신장(腎臟)] 신장에 속한 것들[腎屬物類] 2950
[배(腹)] 배가 아프고 구토하면서 설사하는 것[腹痛嘔泄] 2903
[목구멍(咽喉)]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2883
[제창(諸瘡)] 나력(??) 3 2813
[제창(諸瘡)]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2742
[부종(浮腫)]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2736
[담음(痰飮)]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2721
[정(精)] 성욕을 조절하여 정액을 간직한다[節慾儲精] 2630
[손(手)] 생손앓이[代指] 2623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