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獸部)

토두골(兎頭骨) 토육(兎肉)

한닥터 2011.10.27 조회 수 484 추천 수 0
◈ 兎頭骨 ○ 톳긔머리性平無毒主難産及胞衣不出及産後餘血不下?心腹欲死 ○ 頭骨和皮毛髓?燒灰酒服或丸服 ○ 兎爲食品之上味兎竅有六七穴子從口出故姙娠忌食者非爲缺脣亦緣口出[本草]

☞ 토두골(兎頭骨)

○ 성질이 평(平)하며 독이 없다. 난산과 태반이 나오지 않는 데 쓴다. 산후에 오로가 나오지 않고 가슴으로 치밀어서 죽을 것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 대가리뼈, 가죽, 털, 골수 등을 다 태워 술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 토끼 고기는 제일 맛있는 음식이다. 토끼한테는 구멍이 6-7개가 있다. 임신부는 먹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언청이가 생기지 않게 하자는 데 있다[본초]. 

◈ 肉 ○ 性寒平味辛(一云酸)無毒治渴健脾然性冷多食損元氣絶血?弱房事令人萎黃[本草] ○ 臘月肉作醬食去小兒豌豆瘡 ○ 八月至十月肉酒灸喫與丹石發熱人相宜性冷故也 ○ 兎有白者全得金之氣入藥尤佳兎壽千歲五百歲毛變白餘兎至秋深可食金氣全故也[本草]

☞ 토육(兎肉)

○ 성질이 차고[寒] 평(平)하며 맛이 맵고[辛](시다[酸]고도 한다) 독이 없다. 갈증을 멎게 하고 비(脾)를 든든하게 한다. 그러나 성질이 서늘하므로[冷] 많이 먹으면 원기(元氣)가 상하고 혈맥(血脈)이 끊어지며 성욕이 약해지고 얼굴이 누렇게 되면서 윤기가 없어진다[본초]. ○ 음력 섣달에 고기로 장(醬)을 만들어 먹으면 어린 아이의 완두창(豌豆瘡)을 없애준다. ○ 8월부터 10월 사이에 토끼고기를 술에 담갔다가 구운 것은 광물성 약을 먹고 열이 나는 데 좋다. 그것은 성질이 서늘하기[冷] 때문이다. ○ 흰토끼는 금(金)의 기운을 완전히 받은 것이기 때문에 약으로는 제일 좋다. 토끼는 천년을 사는데 5백년이 지나면 털이 희어진다㈜. 토끼고기는 늦은 가을에 먹어야 한다. 그것은 이때에야 금의 기운[金氣]을 완전히 받기 때문이다[본초]. [註] 토끼의 수명과 관련된 내용은 비과학적이다. 

◈ 腦 ○ 主凍瘡手足?裂又能滑産[本草]

☞ 토뇌(兎腦) ○ 손발이 얼어서 터진 것을 치료한다. 또한 해산을 쉽게 하게 한다[본초]. 

◈ 肝 ○ 主目暗能明目補勞[本草]

☞ 토간(兎肝) ○ 눈이 어두운 것을 치료하는데 눈을 밝게 하고 허로증(虛勞證) 때 보(補)한다[본초]. 

◈ 毛 ○ 燒灰主灸瘡不差[本草]

☞ 토모(兎毛) ○ 태워 가루내서 쓰는데 뜸자리가 낫지 않는 것[灸瘡]을 치료한다[본초]. 

◈ 屎 ○ 一名玩月砂治瘡及痔[本草]

☞ 토시(兎屎) ○ 완월사(玩月砂)라고도 하는데 창(瘡)과 치(痔)를 치료한다[본초]. 

◈ 蹶兎 ○ 北方有跳兎前足寸餘後足幾尺行則用後足跳一躍數尺止則蹶然?地爾雅所謂蹶兎亦曰????[本草]

☞ 궐토(蹶兎) ○ 북쪽 지방에 산토끼가 있는데 앞다리는 1치 정도이고 뒷다리는 몇자나 된다. 뒷다리로 뛰는데 한번에 몇자씩 뛴다. 그러나 멈춰서면 땅에 곧 꺼꾸러진다. 『이아(爾雅)』에 "궐토를 공공(??)이라고도 하고 거허(??)라고도 한다"고 씌어 있는 것이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 3 569
[제창(諸瘡)] 나력(??) 3 2813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76
[머리(頭)] 허훈(虛暈) 2 1536
[눈(眼)] 간허목암(肝虛目暗) 2 693
[허리(腰)] 접질려서 허리가 아픈 것[挫閃腰痛] 2 1502
[옹저(癰疽)]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2 843
[정(精)]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爲遺精] 1 1448
[혈(血)] 해혈(咳血), 수혈(嗽血), 타혈(唾血), 각혈(?血) 1 1770
[진액(津液)] 맥 보는 법[脈法]/진액 1 746
[폐장(肺臟)]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1 1435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
[머리(頭)] 뇌풍증(腦風證) 1 859
[눈(眼)] 투침(偸鍼) 1 1420
[허리(腰)] 신허로 허리가 아픈 것[腎虛腰痛] 1 1959
[옆구리(脇)] 기울로 옆구리가 아픈 것[氣鬱脇痛] 1 1199
[피부(皮)] 음증의 반진[陰證發?] 1 881
[피부(皮)] 검은 사마귀와 기미[黑??子] 1 1418
[풍(風)]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1 1376
[한(寒)] 음성격양(陰盛隔陽) 1 645
[화(火)] 상초열(上焦熱) 1 1958
[허로(虛勞)]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1 2578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07
[허로(虛勞)] 허로를 치료하는 갈가구의 10가지 약[葛可久治虛勞十藥] 1 1298
[적취(積聚)] 6울이 적취, 징가, 현벽의 원인이다[六鬱爲積聚?癖之本] 1 1481
[적취(積聚)] 기울(氣鬱) 1 1165
[창만(脹滿)] 한창(寒脹) 치료법 1 735
[부인(婦人)] 과부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1 1695
[소아(小兒)] 천조경풍(天吊驚風) 1 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