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獸部)

노육(驢肉, 나귀고기) 노지(驢脂) 노피(驢皮) 노유(驢乳)

한닥터 2011.10.27 조회 수 628 추천 수 0
◈ 驢肉 ○ 나귀고기主風狂能安心氣釀酒服治一切風 ○ 凡驢以烏者爲勝入藥用烏之意如烏?子烏蛇烏鴉之類以治風者取其水色以制熱生風之義[本草]

☞ 노육(驢肉, 나귀고기) ○ 풍으로 미친 것[風狂]을 치료하는데 정신을 안정시킨다. 술을 빚어서 먹으면 여러 가지 풍증이 낫는다. ○ 대체로 검정나귀가 좋다. 검정나귀를 약으로 쓰는 것은 검은 닭, 검은 뱀, 까마귀 같은 것을 쓰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검은 것으로 풍증을 치료하는 이유는 검은 빛과 관련된 물[水色]이 풍을 일으키는 열을 억제하기 때문이다[본초]. 

◈ 脂 ○ 治積年聾多年?狂癲不識人和酒服幷付瘡疥[本草]

☞ 노지(驢脂) ○ 오랜 귀머거리와 여러 해 된 학질과 전광[狂癲]으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술에 타서 먹는다. 헌데나 옴에도 바른다[본초]. 

◈ 皮 ○ 治?煎膠服治一切風幷?血吐血腸風血痢崩中帶下 ○ 煎膠用皮取其發散皮膚之義[本草]

☞ 노피(驢皮) ○ 학질을 치료하는데 갖풀(아교)을 만들어 먹는다. 여러 가지 풍증과 코피가 나는 것[?血], 피를 토하는 것[吐血], 장풍(腸風), 혈리(血痢), 붕루[崩中], 대하(帶下)를 치료한다. ○ 가죽을 졸여 아교를 만들어 쓰는 이유는 가죽의 발산(發散)작용을 이용하자는 것이다[본초]. 

◈ 頭 ○ 煮汁止消渴洗頭風風屑[本草]

☞ 노두(驢頭) ○ 삶은 물은 소갈증을 멎게 한다. 이 물로 두풍증[頭風]이나 풍설(風屑)이 있을 때 씻기도 한다[본초]. 

◈ 乳 ○ 性冷利味甘主消渴熱急黃小兒驚癎客?[本草]

☞ 노유(驢乳) ○ 성질이 차고[冷] 맛이 달다[甘]. 소갈열(消渴熱)로 생긴 급황(急黃), 어린이의 경간(驚癎), 객오(客?)를 치료한다[본초]. 

◈ 尿 ○ 性平味?有小毒主胃反吐不止又主齒痛[本草]
☞ 노뇨(驢尿) 

◈ 屎 ○ 主心腹卒痛諸??絞汁服[本草]
☞ 노시(驢屎) 

◈ 尾下軸垢 ○ 療?無久新發無期者[本草]
☞ 노미하축구(驢尾下軸垢)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주설(酒泄) 1233
[대변(大便)] 비설(脾泄) 1152
[대변(大便)] 신설(腎泄) 1024
[대변(大便)] 폭설(暴泄) 846
[대변(大便)] 구설(久泄) 1126
[대변(大便)] 설사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泄瀉宜用升陽之藥] 822
[대변(大便)] 설사와 이질은 같지 않다[瀉與痢不同] 730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대변(大便)] 적리(赤痢) 1098
[대변(大便)] 백리(白痢) 908
[대변(大便)] 적백리(赤白痢) 729
[대변(大便)] 수곡리 641
[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759
[대변(大便)] 휴식리(休息痢) 997
[대변(大便)] 풍리(風痢) 778
[대변(大便)] 한리(寒痢) 727
[대변(大便)] 습리(濕痢) 709
[대변(大便)] 열리(熱痢) 941
[대변(大便)] 기리(氣痢) 621
[대변(大便)] 허리(虛痢) 1007
[대변(大便)] 적리(積痢) 705
[대변(大便)] 구리(久痢) 827
[대변(大便)] 역리(疫痢) 669
[대변(大便)] 고주리(蠱疰痢) 593
[대변(大便)] 5색리(五色痢) 746
[대변(大便)] 이질 때의 8가지 위험한 증후[八痢危證] 660
[대변(大便)]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1005
[대변(大便)] 이질 때 뱃속이 끌어당기는 것같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한 것[痢疾裏急後重] 611
[대변(大便)]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痢疾大孔痛] 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