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獸部)

노육(驢肉, 나귀고기) 노지(驢脂) 노피(驢皮) 노유(驢乳)

한닥터 2011.10.27 조회 수 628 추천 수 0
◈ 驢肉 ○ 나귀고기主風狂能安心氣釀酒服治一切風 ○ 凡驢以烏者爲勝入藥用烏之意如烏?子烏蛇烏鴉之類以治風者取其水色以制熱生風之義[本草]

☞ 노육(驢肉, 나귀고기) ○ 풍으로 미친 것[風狂]을 치료하는데 정신을 안정시킨다. 술을 빚어서 먹으면 여러 가지 풍증이 낫는다. ○ 대체로 검정나귀가 좋다. 검정나귀를 약으로 쓰는 것은 검은 닭, 검은 뱀, 까마귀 같은 것을 쓰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검은 것으로 풍증을 치료하는 이유는 검은 빛과 관련된 물[水色]이 풍을 일으키는 열을 억제하기 때문이다[본초]. 

◈ 脂 ○ 治積年聾多年?狂癲不識人和酒服幷付瘡疥[本草]

☞ 노지(驢脂) ○ 오랜 귀머거리와 여러 해 된 학질과 전광[狂癲]으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술에 타서 먹는다. 헌데나 옴에도 바른다[본초]. 

◈ 皮 ○ 治?煎膠服治一切風幷?血吐血腸風血痢崩中帶下 ○ 煎膠用皮取其發散皮膚之義[本草]

☞ 노피(驢皮) ○ 학질을 치료하는데 갖풀(아교)을 만들어 먹는다. 여러 가지 풍증과 코피가 나는 것[?血], 피를 토하는 것[吐血], 장풍(腸風), 혈리(血痢), 붕루[崩中], 대하(帶下)를 치료한다. ○ 가죽을 졸여 아교를 만들어 쓰는 이유는 가죽의 발산(發散)작용을 이용하자는 것이다[본초]. 

◈ 頭 ○ 煮汁止消渴洗頭風風屑[本草]

☞ 노두(驢頭) ○ 삶은 물은 소갈증을 멎게 한다. 이 물로 두풍증[頭風]이나 풍설(風屑)이 있을 때 씻기도 한다[본초]. 

◈ 乳 ○ 性冷利味甘主消渴熱急黃小兒驚癎客?[本草]

☞ 노유(驢乳) ○ 성질이 차고[冷] 맛이 달다[甘]. 소갈열(消渴熱)로 생긴 급황(急黃), 어린이의 경간(驚癎), 객오(客?)를 치료한다[본초]. 

◈ 尿 ○ 性平味?有小毒主胃反吐不止又主齒痛[本草]
☞ 노뇨(驢尿) 

◈ 屎 ○ 主心腹卒痛諸??絞汁服[本草]
☞ 노시(驢屎) 

◈ 尾下軸垢 ○ 療?無久新發無期者[本草]
☞ 노미하축구(驢尾下軸垢)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적막하수(赤膜下垂) 446
[눈(眼)] 소자적맥(小眥赤脈) 444
[눈(眼)] 소아통정(小兒通睛) 445
[눈(眼)] 소아태중생췌(小兒胎中生贅) 387
[눈(眼)] 소아청맹(小兒靑盲) 523
[눈(眼)] 투침(偸鍼) 1 1425
[눈(眼)] 예막(瞖膜) 964
[눈(眼)]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眼花] 1290
[눈(眼)] 눈이 아픈 것[眼疼] 929
[눈(眼)] 늙은이의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老人眼昏] 665
[눈(眼)] 멀리 보지 못하는 것과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不能遠視不能近視] 640
[눈(眼)] 눈을 뜨지 못하는 것과 감지 못하는 것[目不得開合] 573
[눈(眼)] 눈곱이 나오는 것[眼生眵糞] 856
[눈(眼)]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이는 것[視一物爲兩] 748
[눈(眼)] 책을 많이 읽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讀書損目] 490
[눈(眼)] 지나치게 울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哭泣喪明] 425
[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454
[눈(眼)] 눈병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치료하기 어려운 것을 갈라본 것[眼病易治難治辨] 397
[눈(眼)] 눈에서 불이 일어나는 것같은 것[眼中生火] 481
[눈(眼)] 눈병 때 꺼려야 할 것[眼病禁忌] 420
[눈(眼)] 눈병을 조리하는 방법[眼病調養] 526
[눈(眼)] 눈을 보고 병의 예후가 나쁜 것을 안다[目視凶證] 481
[눈(眼)] 눈에 넣는 약[點眼藥] 906
[눈(眼)] 눈을 씻는 약[洗眼藥] 656
[눈(眼)] 눈병 때 두루 쓰는 약[通治眼病藥] 1183
[눈(眼)] 통성산에 가감하는 방법[通聖散加減法] 707
[눈(眼)] 단방(單方)/눈 601
[눈(眼)] 침뜸치료[鍼灸法]/눈 596
[귀(耳)] 귀와 눈은 양기를 받아야 총명해진다[耳目受陽氣以聰明] 625
[귀(耳)] 귀[耳]는 신(腎)과 관련된 구멍[竅]이다[耳者腎之竅] 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