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獸部)

올눌제(??臍, 해구신)

한닥터 2011.10.27 조회 수 756 추천 수 0
◈ ??臍 ○ 性大熱(一云熱)味?無毒主五勞七傷腎氣衰弱陰?少力面黑精冷幷男子腎精衰損多色成腎勞瘦悴又療鬼魅狐魅夢與鬼交中惡邪氣助陽氣煖腰膝 ○ 新羅國海狗外腎也連卵取之其臍紅紫色其皮上自有肉黃毛三莖共一穴取其外腎陰乾百日置密器中常濕潤如新採無時[本草] ○ 其外腎上有紅紫班點兩重薄膜?其肉核[入門] ○ 須酒浸一日紙?微火上灸令香細?單搗用[本草] ○ 凡使火燎去毛酒浸一日微微火上灸令香細??硏用如無眞者以黃狗腎三枚可代一枚[入門] ○ 欲驗其眞取置睡犬傍其犬忽驚跳若狂者爲佳又於臘月當風處置盂水浸之不凍者爲眞也[本草] ○ 今出江原道平海郡甚貴難得[俗方]

☞ 올눌제(??臍, 해구신)

○ 성질이 몹시 열하며[大熱](열(熱)하다고도 한다) 맛이 짜고[?] 독이 없다. 5로 7상, 신기가 쇠약한 것, 음위증, 기운이 없고 얼굴이 거멓게 되며 정액이 찬 것[面黑精冷], 남자의 신기가 약하고 정액이 적은 것[腎精衰損], 성생활을 지나치게 한 탓으로 신로(腎勞)가 되어 여위고 상한 것, 가위눌린 것, 여우한테 홀린 것, 꿈에 헛것과 방사하는 것, 중악(中惡), 사기(邪氣)를 치료하며 양기(陽氣)를 돕고 허리와 무릎을 덥힌다. ○ 신라의 물개(海狗)의 음경이다. 고환이 달린 채로 떼낸다. 배꼽은 붉은 자줏빛이고 그 가죽에는 살이 붙어 있으며 노란털 3오리가 한 구멍으로 돋아나 있다. 음경을 떼내서 그늘에 1백일 동안 말린 다음 그릇에 담고 뚜껑을 잘 덮어두면 새 것처럼 눅신눅신해진다. 아무때나 떼낸다[본초]. ○ 고환 위에는 붉은 자줏빛 반점이 있고 두겹으로 된 엷은 막[薄膜]이 고환을 싸고 있다[입문]. ○ 술에 하루 동안 담가 두었다가 종이에 싸서 약한 불에 고소한 냄새가 나게 구운 다음 잘게 썰어 찧어서 먹는다[본초]. ○ 대체로 털을 그슬려 없애고 술에 하룻동안 담가 두었다가 약한 불에 고소한 냄새가 나게 구워서 잘게 썬 다음 따로 가루내어 쓴다. 만일 해구신이 없으면 이것 1개 대신 누렁개 콩팥(黃狗腎) 3개를 쓸 수 있다[입문]. ○ 진짜인가를 시험해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잠자는 개 옆에 해구신을 가만히 가져다 놓으면 그 개가 갑자기 놀라면서 뛰는 것으로 알 수 있는데 미친 듯이 뛰는 것이 좋다. 또는 음력 12월에 물에 담가서 바람부는 곳에 두어 보아 그 물이 얼지 않으면 진짜이다[본초]. ○ 요즘 강원도 평해군에서 나기는 하지만 매우 귀하여 얻기가 힘들다[속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눈병을 조리하는 방법[眼病調養] 526
[눈(眼)] 눈병 때 꺼려야 할 것[眼病禁忌] 420
[눈(眼)] 눈에서 불이 일어나는 것같은 것[眼中生火] 481
[눈(眼)] 눈병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치료하기 어려운 것을 갈라본 것[眼病易治難治辨] 397
[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454
[눈(眼)] 지나치게 울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哭泣喪明] 425
[눈(眼)] 책을 많이 읽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讀書損目] 490
[눈(眼)]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이는 것[視一物爲兩] 748
[눈(眼)] 눈곱이 나오는 것[眼生眵糞] 856
[눈(眼)] 눈을 뜨지 못하는 것과 감지 못하는 것[目不得開合] 573
[눈(眼)] 멀리 보지 못하는 것과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不能遠視不能近視] 640
[눈(眼)] 늙은이의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老人眼昏] 665
[눈(眼)] 눈이 아픈 것[眼疼] 929
[눈(眼)]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眼花] 1289
[눈(眼)] 예막(瞖膜) 963
[눈(眼)] 투침(偸鍼) 1 1425
[눈(眼)] 소아청맹(小兒靑盲) 523
[눈(眼)] 소아태중생췌(小兒胎中生贅) 387
[눈(眼)] 소아통정(小兒通睛) 445
[눈(眼)] 소자적맥(小眥赤脈) 444
[눈(眼)] 적막하수(赤膜下垂) 446
[눈(眼)] 황막상충(黃膜上衝) 640
[눈(眼)] 동인건결(瞳人乾缺) 451
[눈(眼)] 양극난임(痒極難任) 383
[눈(眼)] 통여침자(痛如鍼刺) 516
[눈(眼)] 검경정통(瞼硬睛痛) 417
[눈(眼)] 폭풍객열(暴風客熱) 500
[눈(眼)]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오는 것[衝風淚出] 911
[눈(眼)] 풍적창질(風赤瘡疾) 467
[눈(眼)] 태풍적란(胎風赤爛) 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