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獸部)

미후(??, 잔나비) 미후두골(??頭骨)

한닥터 2011.10.27 조회 수 418 추천 수 0
◈ ?? ○ ?납肉性平味酸無毒主諸風勞作脯主久? ○ 此物有數種取色黃尾長面赤者[本草] ○ ??八百歲化爲猿猿五百歲變爲??一千歲變爲蟾?[入門]

☞ 미후(??, 잔나비)

 ○ 고기는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시며[酸] 독이 없다. 모든 풍증과 허로를 치료한다. 포육[脯]을 만들어 오랜 학질에도 쓴다. ○ 잔나비는 종류가 여러 가지인데 빛이 누렇고 꼬리가 길며 얼굴이 붉은 것을 약으로 쓴다[본초]. ○ 잔나비(??)는 800년이 지나면 원숭이(猿)가 되고 원숭이가 500년이 지나면 곽으로 변하며 곽(?)은 천년이 지나면 두꺼비로 변한다고도 한다㈜[입문]. [註] 과학성이 없는 말이다. 

◈ 頭骨 ○ 主??鬼?燒灰酒服又?小兒驚鬼魅[本草]

☞ 미후두골(??頭骨)

 ○ 장학(??)과 귀학(鬼?)을 치료한다. 태워서 술에 타 먹는다. 또한 어린이의 경풍과 가위에 눌린 것도 치료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부인(婦人)]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1000
[귀(耳)] 귀가 가려운 것[耳痒] 1001
[곡식(穀部)] 교맥(蕎麥, 메밀)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교맥양(蕎麥穰, 메밀대) 1001
[화(火)] 화는 상초화, 중초화, 하초화 등의 차이가 있다[火有上中下三焦之異] 1002
[목소리(聲音)] 목소리가 변한 데 두루 쓰는 약[通治聲音藥] 1003
[오줌(小便)] 열림(熱淋) 1003
[입과 혀(口舌)] 중설(重舌) 1003
[가슴(胸)] 냉심통(冷心痛) 1003
[가슴(胸)] 열심통(熱心痛) 1003
[한(寒)] 상한양독(傷寒陽毒) 1004
[꿈(夢)] 사람을 싫어하고 혼자 있으려 하는 것[惡人欲獨處] 1005
[대변(大便)]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1005
[침구(針灸)] 별혈(別穴, 경외기혈) 1006
[적취(積聚)] 정기를 보하면 적은 저절로 없어진다[養正積自除] 1006
[신(神)] 크게 설사시켜 광증을 낫게 한다[大下愈狂] 1007
[대변(大便)] 허리(虛痢) 1007
[한(寒)] 양명병에 꺼릴 것[陽明病禁忌] 1007
[부인(婦人)] 죽은 태아를 나오게 하는 법[下死胎] 1007
[토[吐]] 토하게 하는 약[吐藥] 1010
[화(火)] 허번(虛煩) 1012
[기(氣)] 기(氣)는 호흡의 근원이 된다[氣爲呼吸之根] 1013
[허로(虛勞)] 주하병(注夏病) 1013
[허리(腰)] 기로 허리가 아픈 것[氣腰痛] 1014
[곡식(穀部)] 호마(胡麻, 검은참깨 또는 검정참깨) 1014
[이빨(牙齒)] 빠진 이빨을 다시 나오게 하는 방법[落齒重生方] 1015
[전음(前陰)] 음낭이 붓는 것[陰腫] 1015
[전음(前陰)] [陰腫陰痒陰瘡陰冷交接出血] 1015
[습(濕)] 습비(濕痺) 1015
[담부(膽腑)] 담의 위치[膽部位] 1016
[가슴(胸)] 음심통(飮心痛) 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