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獸部)

미후(??, 잔나비) 미후두골(??頭骨)

한닥터 2011.10.27 조회 수 418 추천 수 0
◈ ?? ○ ?납肉性平味酸無毒主諸風勞作脯主久? ○ 此物有數種取色黃尾長面赤者[本草] ○ ??八百歲化爲猿猿五百歲變爲??一千歲變爲蟾?[入門]

☞ 미후(??, 잔나비)

 ○ 고기는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시며[酸] 독이 없다. 모든 풍증과 허로를 치료한다. 포육[脯]을 만들어 오랜 학질에도 쓴다. ○ 잔나비는 종류가 여러 가지인데 빛이 누렇고 꼬리가 길며 얼굴이 붉은 것을 약으로 쓴다[본초]. ○ 잔나비(??)는 800년이 지나면 원숭이(猿)가 되고 원숭이가 500년이 지나면 곽으로 변하며 곽(?)은 천년이 지나면 두꺼비로 변한다고도 한다㈜[입문]. [註] 과학성이 없는 말이다. 

◈ 頭骨 ○ 主??鬼?燒灰酒服又?小兒驚鬼魅[本草]

☞ 미후두골(??頭骨)

 ○ 장학(??)과 귀학(鬼?)을 치료한다. 태워서 술에 타 먹는다. 또한 어린이의 경풍과 가위에 눌린 것도 치료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화설(火泄) 946
[대변(大便)] 허설(虛泄) 1140
[대변(大便)] 활설(滑泄) 1155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5
[대변(大便)] 담설(痰泄) 1088
[대변(大便)] 식적설(食積泄) 1317
[대변(大便)] 주설(酒泄) 1233
[대변(大便)] 비설(脾泄) 1152
[대변(大便)] 신설(腎泄) 1024
[대변(大便)] 폭설(暴泄) 846
[대변(大便)] 구설(久泄) 1126
[대변(大便)] 설사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泄瀉宜用升陽之藥] 822
[대변(大便)] 설사와 이질은 같지 않다[瀉與痢不同] 730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대변(大便)] 적리(赤痢) 1098
[대변(大便)] 백리(白痢) 908
[대변(大便)] 적백리(赤白痢) 729
[대변(大便)] 수곡리 641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
[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759
[대변(大便)] 휴식리(休息痢) 997
[대변(大便)] 풍리(風痢) 778
[대변(大便)] 한리(寒痢) 727
[대변(大便)] 습리(濕痢) 709
[대변(大便)] 열리(熱痢) 941
[대변(大便)] 기리(氣痢) 621
[대변(大便)] 허리(虛痢) 1007
[대변(大便)] 적리(積痢) 705
[대변(大便)] 구리(久痢) 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