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魚部)

궐어(?魚, 쏘가리)

한닥터 2011.10.31 조회 수 734 추천 수 0
◈ ?魚 ○ 소가리性平味甘無毒(一云微毒)補勞益脾胃治腸風瀉血去腹內小?益氣力令人肥健 ○ 生江溪間背有黑點巨口一名?豚卽今錦麟魚也[本草]
☞ 궐어(?魚, 쏘가리) ○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한다). 허약한 것을 보하고 비위를 든든하게 하며 장풍(腸風)으로 피를 쏟는 것을 치료하는데 배 안의 작은 벌레를 죽인다. 기력(氣力)을 돕고 살찌게 하며 건강해지게 한다. ○ 강이나 개울에 있는데 등에는 검은 점이 있으며 입이 크다. 일명 궐돈(?豚)이라고도 하는데 요즘은 금린어(錦鱗魚)라고 한다[본초]. 

◈ 膽 ○ 主骨?在喉中不下[本草]
☞ 궐어담(?魚膽) ○ 뼈가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는 데 쓴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입과 혀(口舌)] 입술이 붓거나 허는 것[唇腫唇瘡] 1087
[부인(婦人)] 후배앓이[兒枕痛] 1087
[대변(大便)] 담설(痰泄) 1088
[한(寒)]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1088
[꿈(夢)] 잠을 자는 법[寢睡法] 1089
[배꼽(臍)] 배꼽 부위가 툭툭 뛰는 증[臍築證] 1089
[허로(虛勞)] 허로증(虛勞證) 1089
[기(氣)] 태식법㈜(胎息法) 1090
[한(寒)] 상한양증(傷寒陽證) 1090
[풍(風)] 비증의 이름과 쓰는 약[痺證病名及用藥] 1091
[채소(菜部)] 해채(?菜, 염교) 1091
[용약(用藥)] 표증, 이증, 허증, 실증에 쓰는 약[表裏虛實藥] 1092
[한(寒)] 오한이 나는 것, 열을 싫어하는 것,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惡寒惡熱往來寒熱] 1092
[구토(嘔吐)] 구토, 열격, 반위 때에는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嘔吐?膈反胃宜通大便] 1092
[담음(痰飮)] 지음(支飮) 1094
[한(寒)] 태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太陽形證用藥] 1096
[한(寒)]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1096
[대변(大便)] 적리(赤痢) 1098
[입과 혀(口舌)] 입 안이 헤진 것[口?] 1099
[한(寒)] 상한번조(傷寒煩躁) 1099
[소아(小兒)]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1101
[한(寒)] 태양축혈(太陽畜血) 1102
[오줌(小便)] 석림(石淋) 1103
[오줌(小便)]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설사를 시켜야 한다[?閉宜瀉] 1105
[한(寒)] 노복증과 식복증[勞復食復證] 1105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6
[내상(內傷)] 음식을 먹은 뒤에 정신이 흐릿하고 몸이 노곤한 것[食後昏困] 1106
[귀(耳)] 허하여 귀가 먹은 것[虛聾] 1107
[기(氣)] 기(氣)로부터 여러 가지 병이 생긴다[氣爲諸病] 1108
[허리(腰)] 식적으로 허리가 아픈 것[食積腰痛] 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