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魚部)

석수어(石首魚, 조기)

한닥터 2011.10.31 조회 수 675 추천 수 0
◈ 石首魚 ○ 조긔性平味甘無毒主食不消腹脹暴痢和?作羹開胃益氣 ○ 乾食之名爲?(音想)生東海[本草]

☞ 석수어(石首魚, 조기) ○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고 배가 불러 오르면서 갑자기 이질이 생긴 데 주로 쓴다. 순채(蓴)와 같이 국을 끓여서 먹으면 음식맛이 나게 되고 소화가 잘 되며 기를 보한다. ○ 말린 것을 굴비(?)라고 한다. 이것은 동해에 있다[본초]. 

◈ 頭中石 ○ 頭中有小石如碁子主下石淋磨服之[本草]
☞ 석수어두중석(石首魚頭中石) ○ 대가리 안에 바둑돌 같은 작은 돌이 있는데 이것은 석림 때 갈아서 먹는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물(水部)] 동기상한(銅器上汗, 동기에 오른 김) 438
[풀(草部)] 자원(紫?) 437
[맥(脈)] 서로 비슷한 맥[相類脈] 437
[변증(辨證)] 병에 형체가 있는 것과 없는 것[凡病有形無形] 437
[괴질(怪疾)] 몸에 얼룩얼룩한 털이 나오는 것[身出斑毛] 437
[괴질(怪疾)] 팔다리뼈마디가 어긋난 것[四肢節脫] 437
[소아(小兒)] 어린이가 여러 가지 병으로 죽는 증[小兒諸病死證] 437
[새(禽部)] 천아육(天鵝肉, 고니고기) 437
[벌레(蟲部)] 구인(?蚓, 지렁이) 437
[풀(草部)] 택란(澤蘭, 쉽싸리) 436
[맥(脈)] 단방(單方)/맥 436
[변증(辨證)] 음과 양에서 병이 생긴다[陰陽生病] 436
[한(寒)] 땀을 억지로 내면 수명을 단축한다[促汗夭壽] 436
[잡방(雜方)] 녹각죽(鹿角粥) 436
[곡식(穀部)] 용저두세강(?杵頭細糠, 절구공이 묻은 겨) 436
[풀(草部)] 남실(藍實, 쪽씨) 남엽즙(藍葉汁, 쪽잎즙) 남전(藍澱) 435
[풀(草部)] 황련(黃連) 435
[침구(針灸)] 날짜에 따라 인신(人神)이 있는 곳 435
[용약(用藥)] 자연과 조화되는 것이 상하지 않게 해야 한다[毋伐天和] 435
[용약(用藥)] 위기를 상하지 말아야 한다[勿傷胃氣] 435
[풀(草部)] 초부 (하) ○ 일백팔십팔종이 있다. 434
[풀(草部)] 통초(通草) 통초자(通草子, 통초열매) 통초근(通草根, 통초뿌리) 434
[진맥(診脈)] 맥과 증상이 반대되는 것[脈從病反] 434
[용약(用藥)] 지양은 지음으로 보좌해야 한다[至陽佐以至陰] 433
[풍(風)] 비증의 예후[痺病吉凶] 433
[한(寒)] 외감으로 속이 상하여 허증이 된 데는 보해야 한다[外感內傷虛證宜補] 433
[제상(諸傷)] 도루래한테 물린 것[??傷] 433
[짐승(獸部)] 학육(?肉, 담비고기) 433
[용약(用藥)] 식사요법으로 병을 치료하는 것[食療治病] 432
[잡방(雜方)] 죽력을 내는 방법[取竹瀝法]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