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魚部)

선어(?魚, 두렁허리)

한닥터 2011.10.31 조회 수 815 추천 수 0
◈ ?魚 ○ 드렁허리性大溫味甘無毒主濕痺補虛損療@脣治婦人産後淋瀝血氣不調羸瘦 ○ 一名?(音善)魚似鰻?魚而細長亦似蛇而無麟有靑黃二色生水岸泥窟中所在皆有亦蛇類也[本草]

☞ 선어(?魚, 두렁허리) ○ 성질이 몹시 따뜻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습비를 치료하고 허손된 것을 보하며 입술이 허는 것을 낫게 한다. 또한 부인들이 몸푼 뒤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혈기가 고르지 않고 여위는 것도 치료한다. ○ 일명 선어(?魚)라고도 하는데 뱀장어처럼 가늘고 길어서 뱀 비슷한데 비늘은 없다. 푸르고 누런 2가지 빛이 난다. 물가의 진흙 구멍 속에서 산다. 이것은 뱀종류이다[본초]. 

◈ 血 ○ 主癬及瘻瘡[本草]
☞ 선혈(?血) ○ 버짐[癬]과 누창[瘻]을 치료한다[본초]. 

◈ 頭骨 ○ 止痢治消渴端午日取燒灰用[本草]
☞ 선두골(?頭骨) ○ 이질을 낫게 하고 소갈을 치료한다. 단오날에 잡아 태워 가루내서 쓴다[본초]. 

◈ 皮 ○ 主婦人乳硬結痛燒灰酒下二錢[本草]
☞ 선피(?皮) ○ 부인의 젖이 뜬뜬하게 뭉쳐서 아픈 데 불에 태워 가루를 내어 8g씩 술에 타서 먹는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흙(土部)] 당묵(?墨, 가마밑 검댕) 462
[흙(土部)] 양상진(梁上塵) 532
[곡식(穀部)]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637
[곡식(穀部)] 호마(胡麻, 검은참깨 또는 검정참깨) 1014
[곡식(穀部)] 청양(靑?, 검정참깨잎) 911
[곡식(穀部)]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987
[곡식(穀部)]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567
[곡식(穀部)] 백유마엽(白油麻葉, 흰참깨잎) 589
[곡식(穀部)]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557
[곡식(穀部)] 마자(麻子, 삼씨) 537
[곡식(穀部)] 마분(麻?, 삼꽃가루) 470
[곡식(穀部)] 마엽(麻葉, 삼잎) 513
[곡식(穀部)] 마근(麻根, 삼뿌리) 467
[곡식(穀部)] 고마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493
[곡식(穀部)]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878
[곡식(穀部)] 대두(大豆, 콩) 607
[곡식(穀部)] 여두(?豆, 쥐눈이콩) 770
[곡식(穀部)] 두황(豆黃, 콩가루) 560
[곡식(穀部)]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904
[곡식(穀部)]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1018
[곡식(穀部)] 속미(粟米, 좁쌀)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687
[곡식(穀部)] 얼미(蘖米, 조길금) 621
[곡식(穀部)] 갱미(粳米, 멥쌀) 752
[곡식(穀部)] 진름미(陳?米, 묵은 쌀) 636
[곡식(穀部)] 나미(?米, 찹쌀) 나도간(?稻稈, 찰볏집) 754
[곡식(穀部)] 청량미(靑粱米, 생동쌀) 726
[곡식(穀部)] 황량미(黃粱米) 565
[곡식(穀部)] 백량미(白粱米) 472
[곡식(穀部)] 서미(黍米, 기장쌀) 896
[곡식(穀部)]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