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蟲部)

모려(牡蠣)

한닥터 2011.10.31 조회 수 938 추천 수 0
◈ 牡蠣 ○ 굴죠개性平(一云微寒)味?無毒澁大小腸止大小便及盜汗療泄精及女子帶下赤白除溫? ○ 牡蠣爲軟堅收斂之劑入足少陰經[總錄] ○ 生東海採無時一云十一月採爲好其殼擧腹向南視之口斜向東則是左顧或曰以尖頭爲左顧左顧者入藥大抵以大者爲好 ○ 先用?水煮一伏時火?硏粉用之[總錄]

☞ 모려(牡蠣) ○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며[?] 독이 없다. 대소장을 조여들게 하고 대소변이 지나치게 나가는 것과 식은땀[盜汗]을 멎게 하며 유정, 몽설, 적백대하를 치료하며 온학을 낫게 한다. ○ 굴조개껍질은 굳은 것을 물러지게 하고 수렴작용하는 약제[收斂之劑]인데 약 기운은 족소음경(足少陰經)으로 들어간다[총록]. ○ 동해에 있는데 아무 때나 잡는다. 음력 2월에 잡은 것이 좋다. 배쪽의 껍질을 남쪽으로 향하게 들고 보았을 때 주둥이가 동쪽으로 돌아가 있는 것을 좌고모려(左顧牡蠣)라고 한다. 혹 대가리가 뾰족한 것을 좌고모려라고도 하는데 이것을 약으로 쓴다. 대체로 큰 것이 좋다. ○ 먼저 소금물에 2시간 정도 끓인 다음 불에 구워 가루내어 쓴다[총록]. 

◈ 肉 ○ 굴食之美好更有益兼令人細肌膚美顔色海族之最可貴者也[總錄]

☞ 모려육(牡蠣肉) ○ 먹으면 맛이 좋은데 몸에 아주 좋다. 또한 살결을 곱게 하고 얼굴빛을 좋아지게 하는데 바다에서 나는 식료품 가운데서 가장 좋은 것이다[총록].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눈에 피가 진 다음에 예막이 생긴 것[赤眼後生瞖] 408
[눈(眼)] 천행적목(天行赤目) 554
[눈(眼)] 눈에 티나 먼지, 연가시가 들어간 것[眯目飛塵飛絲] 455
[눈(眼)] 혈관동인(血灌瞳人) 412
[눈(眼)] 동자생예(撞刺生瞖) 445
[눈(眼)] 피물당타(被物撞打) 502
[눈(眼)] 녹로전관(轆轤轉關) 489
[눈(眼)] 골안응정(鶻眼凝睛) 330
[눈(眼)] 선라첨기(旋螺尖起) 504
[눈(眼)] 신수동통(神祟疼痛) 414
[눈(眼)] 풍견검출(風牽瞼出) 356
[눈(眼)] 도첩권모(倒睫拳毛) 483
[눈(眼)] 풍기와편(風起喎偏) 472
[눈(眼)] 돌기정고(突起睛高) 452
[눈(眼)] 해정동통(蟹睛疼痛) 467
[눈(眼)] 누정농출(漏睛膿出) 399
[눈(眼)] 포육교응(胞肉膠凝) 494
[눈(眼)] 검생풍속(瞼生風粟) 464
[눈(眼)] 계관현육(鷄冠蜆肉) 475
[눈(眼)] 순생예와 역생예[順逆生瞖 ] 349
[눈(眼)] 옥예부만(玉瞖浮滿) 389
[눈(眼)] 수하심예(水瑕深瞖) 390
[눈(眼)] 화예백함(花瞖白陷) 373
[눈(眼)] 흑예여주(黑瞖如珠) 400
[눈(眼)] 정예근심(釘瞖根深) 376
[눈(眼)] 막입수륜(膜入水輪) 306
[눈(眼)] 양검점정(兩瞼粘睛) 550
[눈(眼)] 노육반정(努肉攀睛) 509
[눈(眼)] 혼정(混睛) 353
[눈(眼)] 간장적열(肝臟積熱) 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