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蟲部)

대매(?瑁, 대모)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451 추천 수 0
◈ ?瑁 ○ 야긔겁질性寒無毒解百藥毒?蠱毒療心經風熱 ○ ?(與玳同)瑁龜類也惟腹背甲皆有紅點斑文生海中採無時入藥須生者乃佳[本草]

☞ 대매(?瑁, 대모) ○ 성질이 차고[寒] 독이 없다. 여러 가지 약독을 풀어 주고 고독(蠱毒)을 없애며 심경(心經)의 풍열(風熱)을 내린다. ○ 대모도 거북이 종류이다. 배와 등에는 껍데기가 있는데 거기에는 붉은 점과 알락달락한 무늬가 있다. 바다에서 사는데 아무 때나 잡을 수 있다. 약으로는 생것이 좋다[본초]. 

◈ 肉 ○ 性平主諸風鎭心脾利大小腸通月經[本草]

☞ 대매육(?瑁肉) ○ 성질이 평(平)하다. 여러 가지 풍증을 치료하고 심과 비를 진정시키며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월경을 잘하게 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짐승(獸部)] 학육(?肉, 담비고기) 432
[내상(內傷)] 5가지 맛을 지나치게 먹으면 병이 된다[五味過傷爲病] 431
[옹저(癰疽)] 비옹(臂癰) 431
[소아(小兒)]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431
[채소(菜部)] 양하(?荷) 431
[천지운기(天地運氣)] 60년간 운기의 주기와 객기, 사람에게 생기는 병[六十歲運氣主客及民病] 430
[변증(辨證)] 맥과 병이 일치되는 것과 반대되는 것[脈從病反] 430
[진맥(診脈)] 맥이 대(大)한 것은 병이 진행되는 것이다[脈大病進] 430
[용약(用藥)] 병을 치료하는 데 8가지 중요한 것[治病八要] 430
[벌레(蟲部)] 전라(田螺, 우렁이) 430
[풀(草部)] 여실(?實, 타래붓꽃씨) 여화엽(?花葉, 타래붓꽃과 잎) 429
[눈(眼)] 녹풍(綠風) 429
[심병(審病)] 5장은 몸을 든든하게 하는 것이다[五臟者身之强] 429
[소아(小兒)] 냉열감(冷熱疳) 429
[천지운기(天地運氣)] 음양이 뒤섞인 것[陰陽相錯] 428
[용약(用藥)] 보하지 말아야 할 4가지 병이 있다[病有不可補者四] 428
[괴질(怪疾)] 앵두같이 생긴 헌데가 나는 것[生瘡如櫻桃] 428
[풀(草部)] 지모(知母) 427
[침구(針灸)] 5탈증에는 침으로 사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五奪勿用鍼瀉] 427
[한(寒)] 동기가 위에 있는 것[動氣在上] 427
[침구(針灸)] 몸에 있는 4곳의 모여드는 것과 그에 해당한 수혈[人身四海?穴] 426
[눈(眼)] 황심예(黃心瞖) 426
[제상(諸傷)] 달팽이한테 상한 것[蝸牛傷] 426
[잡방(雜方)] 밀주(蜜酒) 426
[물(水部)] 조사탕(繰絲湯) 426
[풀(草部)] 백선(白鮮, 백선피) 425
[풀(草部)] 회향(茴香) 425
[침구(針灸)] 뜸자리를 헐게 하는 방법[發灸瘡法] 425
[눈(眼)] 지나치게 울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哭泣喪明] 425
[이빨(牙齒)] 이빨의 빛깔을 보고 병을 알아내는 것[視齒色占病]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