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蟲部)

석결명(石決明, 전복껍질)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815 추천 수 0
◈ 石決明 ○ ?포겁질性平味?無毒主靑盲內障肝肺風熱目中障? ○ 鰒魚甲也一名九孔螺一名千里光生東南海中以七孔九孔者爲良採無時眞珠母也內亦含珠 ○ ?裏熟?或?水煮一伏時然後磨去外黑皺皮了細硏如?方堪用[本草]

☞ 석결명(石決明, 전복껍질)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짜며[?] 독이 없다. 청맹과니와 내장(內障), 간(肝), 폐(肺)에 풍열이 있어 눈에 장예(障?)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 복어껍질(鰒魚甲)을 말하는데 일명 구공라(九孔螺) 또는 천리광(千里光)이라고도 한다. 동해나 남해에서 난다. 구멍이 7개나 9개 있는 것이 좋다. 아무 때나 잡아 써도 좋다. 진주의 어미이다. 속에는 진주가 들어 있다. ○ 밀가루떡에 싸서 잿불에 굽거나 소금물에 2시간 정도 삶아서 겉에 있는 검으면서 주름이 진 껍질은 버리고 밀가루처럼 보드랍게 가루내어 쓴다[본초]. 

◈ 肉 ○ 名鰒魚性凉味?無毒啖之明目 ○ 人採肉以供饌最爲珍味 ○ 殼肉皆治目[本草]

☞ 석결명육(石決明肉) ○ 복어(鰒魚)라고 하는데 성질이 서늘하고[凉] 맛이 짜며[?] 독이 없다. 먹으면 눈이 밝아진다. ○ 전복을 반찬으로도 먹는데 맛이 좋다. ○ 껍질과 살은 다 눈병을 낫게 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눈에 피가 진 다음에 예막이 생긴 것[赤眼後生瞖] 408
[눈(眼)] 천행적목(天行赤目) 554
[눈(眼)] 눈에 티나 먼지, 연가시가 들어간 것[眯目飛塵飛絲] 455
[눈(眼)] 혈관동인(血灌瞳人) 412
[눈(眼)] 동자생예(撞刺生瞖) 445
[눈(眼)] 피물당타(被物撞打) 502
[눈(眼)] 녹로전관(轆轤轉關) 489
[눈(眼)] 골안응정(鶻眼凝睛) 330
[눈(眼)] 선라첨기(旋螺尖起) 504
[눈(眼)] 신수동통(神祟疼痛) 414
[눈(眼)] 풍견검출(風牽瞼出) 356
[눈(眼)] 도첩권모(倒睫拳毛) 483
[눈(眼)] 풍기와편(風起喎偏) 472
[눈(眼)] 돌기정고(突起睛高) 452
[눈(眼)] 해정동통(蟹睛疼痛) 467
[눈(眼)] 누정농출(漏睛膿出) 399
[눈(眼)] 포육교응(胞肉膠凝) 494
[눈(眼)] 검생풍속(瞼生風粟) 464
[눈(眼)] 계관현육(鷄冠蜆肉) 475
[눈(眼)] 순생예와 역생예[順逆生瞖 ] 349
[눈(眼)] 옥예부만(玉瞖浮滿) 389
[눈(眼)] 수하심예(水瑕深瞖) 390
[눈(眼)] 화예백함(花瞖白陷) 373
[눈(眼)] 흑예여주(黑瞖如珠) 400
[눈(眼)] 정예근심(釘瞖根深) 376
[눈(眼)] 막입수륜(膜入水輪) 306
[눈(眼)] 양검점정(兩瞼粘睛) 550
[눈(眼)] 노육반정(努肉攀睛) 509
[눈(眼)] 혼정(混睛) 353
[눈(眼)] 간장적열(肝臟積熱) 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