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蟲部)

하(鰕, 새우)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500 추천 수 0
◈ 鰕 ○ 사요性平味甘有小毒主五痔久食動風生江海中稍大煮之色白 ○ 生溝渠中小者主小兒赤白遊腫煮之色赤[本草]

☞ 하(鰕, 새우)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약간 있다. 5가지 치질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풍이 동한다. 강이나 바다에서 사는데 제일 큰 것은 삶으면 빛이 허옇게 된다. ○ 개울이나 물웅덩이에서 사는 것은 작은데 어린이의 적유증과 백유증[赤白遊腫]에 쓴다. 이것은 삶으면 빛이 벌겋게 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소양병 때 땀을 내는 것은 좋지 않다[少陽病不可發汗] 425
[제창(諸瘡)] 열독창(熱毒瘡) 425
[부인(婦人)] 체현자차지법(體玄子借地法) 425
[변증(辨證)] 3대를 내려온 의사를 귀중히 여긴다[醫貴三世] 424
[변증(辨證)] 오르내리는 것이 제대로 되지 못하면 병이 생긴다[升降失常爲病] 423
[부인(婦人)] 해산 후에 젖몸이 늘어지는 증[産後乳懸證] 423
[소아(小兒)]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五臟相乘] 423
[소아(小兒)] 신열(腎熱) 423
[곡식(穀部)] 부(?, 밀기울) 423
[한(寒)] 땀을 내는 법[發汗法] 422
[해독(解毒)] 여러 가지 짐승고기에 중독된 것[諸獸肉毒] 422
[짐승(獸部)] 상아(象牙) 422
[변증(辨證)] 정상이 아닌 것은 병이다[反常爲病] 421
[해독(解毒)] 국수중독[麵毒] 421
[잡방(雜方)] 몇가지 방법[諸法] 42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짐승(獸部)] 누서(?鼠, 날다람쥐) 421
[풀(草部)] 비해(??) 420
[침구(針灸)] 수소음심경의 순행[手少陰心經流注] 420
[눈(眼)] 눈병 때 꺼려야 할 것[眼病禁忌] 420
[옹저(癰疽)]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癰疽寒熱] 420
[제창(諸瘡)] 단방(單方) 420
[해독(解毒)] 오독도기중독[狼毒毒] 420
[해독(解毒)] 철죽중독 420
[잡방(雜方)] 옥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軟玉法] 420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침구(針灸)] 족소양담경의 순행[足少陽膽經流注] 419
[심병(審病)] 5장은 속을 지키는 것이다[五臟者中之守] 419
[한(寒)] 상한에 5가지가 있다[傷寒有五種] 419
[한(寒)] 상한의 16가지 이름[傷寒十六名]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