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蟲部)

오사(烏蛇)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387 추천 수 0
◈ 烏蛇 ○ 거믄?얌性平味甘有小毒(一云無毒)主大風疥癩眉?脫落皮膚頑痺生瘡治熱毒風及一切諸風?疹疥癬 ○ 背有三稜色黑如漆性善不?物頭上有@毛至枯死而眼不陷如活者秤之重七錢半至一兩上爲上用之入神#大者轉重力彌減 ○ 尾細長能穿小銅錢一百文者佳此蛇脊高世謂之劒脊烏蛇多在蘆叢中嗅其花氣亦乘南風吸最難採捕酒浸去皮骨取肉焙乾用[本草] ○ 我國黃海道豊川海中椒島有之常在椒樹上吸其氣然最難得[俗方]

☞ 오사(烏蛇)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약간 있다(독이 없다고도 한다). 문둥병으로 눈썹이 빠진 것과 피부에 감각이 없는 것, 헌데가 생긴 것, 열독풍(熱毒風), 모든 풍증, 두드러기, 옴, 버짐을 치료한다. ○ 잔등은 세모가 나고 옻같이 검은데 성질이 순하여 사람을 잘 물지 않는다. 대가리에는 거꾸로 나온 털이 있고 말라 죽어도 눈을 감지 않기 때문에 살아 있는 것 같다. 무게가 30-40g 되는 것이 제일 좋다. 지나치게 큰 것은 약 효과가 적다. ○ 꼬리가 가늘고 길어서 작은 동전 백닢을 꿸 만한 것이 좋다. 이 뱀은 등골뼈가 높기 때문에 민간에서는 검척오사(劒脊烏蛇)라고 한다. 흔히 갈밭에서 살면서 갈꽃의 향기를 맡으며 남풍을 들여마시는데 잡기가 매우 힘들다. 술에 담갔다가 껍질과 뼈를 버리고 살만 발라서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본초]. ○ 황해남도의 풍천과 초도 등에서 난다. 늘 조피나무 위에서 살면서 그 향기를 마시는데 잡기가 아주 힘들다[속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소양병 때 땀을 내는 것은 좋지 않다[少陽病不可發汗] 425
[제창(諸瘡)] 열독창(熱毒瘡) 425
[부인(婦人)] 체현자차지법(體玄子借地法) 425
[변증(辨證)] 3대를 내려온 의사를 귀중히 여긴다[醫貴三世] 424
[변증(辨證)] 오르내리는 것이 제대로 되지 못하면 병이 생긴다[升降失常爲病] 423
[부인(婦人)] 해산 후에 젖몸이 늘어지는 증[産後乳懸證] 423
[소아(小兒)]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五臟相乘] 423
[소아(小兒)] 신열(腎熱) 423
[곡식(穀部)] 부(?, 밀기울) 423
[한(寒)] 땀을 내는 법[發汗法] 422
[해독(解毒)] 여러 가지 짐승고기에 중독된 것[諸獸肉毒] 422
[짐승(獸部)] 상아(象牙) 422
[변증(辨證)] 정상이 아닌 것은 병이다[反常爲病] 421
[해독(解毒)] 국수중독[麵毒] 421
[잡방(雜方)] 몇가지 방법[諸法] 42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짐승(獸部)] 누서(?鼠, 날다람쥐) 421
[풀(草部)] 비해(??) 420
[침구(針灸)] 수소음심경의 순행[手少陰心經流注] 420
[눈(眼)] 눈병 때 꺼려야 할 것[眼病禁忌] 420
[옹저(癰疽)]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癰疽寒熱] 420
[제창(諸瘡)] 단방(單方) 420
[해독(解毒)] 오독도기중독[狼毒毒] 420
[해독(解毒)] 철죽중독 420
[잡방(雜方)] 옥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軟玉法] 420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침구(針灸)] 족소양담경의 순행[足少陽膽經流注] 419
[심병(審病)] 5장은 속을 지키는 것이다[五臟者中之守] 419
[한(寒)] 상한에 5가지가 있다[傷寒有五種] 419
[한(寒)] 상한의 16가지 이름[傷寒十六名] 419